|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50대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만 4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취업자 수가 감소한 건 2021년 2월(-13만 9000명) 이후 4년 만이다.
50대 일자리가 줄어든 주요 원인으로는 건설업 한파가 손꼽힌다.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관련 일자리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6만 9000명 줄어, 201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5월부터 9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감소폭도 점차 커지고 있다.
문제는 대출 규제, 거래 부진으로 부동산 수요가 위축되면서 건설업 부진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건설 경기 부진이 계속되고, 올해 상반기 입주물량도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상반기까지 (건설업)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건설업과 함께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세도 심상치 않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5만 6000명이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반도체 수출 호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7월부터 7개월째 감소세다. 반도체는 상대적으로 고용 창출 효과가 낮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기 경기부양 및 금리인하 고려해야
이 같은 고용시장 절벽은 내수 부진이 그만큼 심화하고 있음을 뜻한다. 실제 자영업자들을 포함하는 비임금근로자 취업자수는 지난 12월 1년 전보다 3000명 감소했다가, 올해 1월에는 전년 대비 4만 5000명 줄어들어 감소폭이 확대했다. 가뜩이나 내수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계엄 및 탄핵 정국까지 덮치며 소비가 급격히 얼어붙었어 자영업 상황이 급격히 악화했다.
이 때문에 추경과 같은 빠른 경기 부양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편에서는 추가 금리 인하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박성현 IM증권 연구원은 “내수 부진 리스크를 고려할 때 2월 금통위에서는 추가 금리인하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조기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국내 경기부양 정책도 한층 강화돼야 한다”며 고 말했다.
정부에서는 사회간접자본(SOC)나 공공기관 투자 등의 상반기 신속집행을 통해 건설 경기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공사비 현실화 방안 등 다양한 대책을 냈는데, 그런 부분을 차질없이 추진해서 건설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기적으로는 경제체질 강화 등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양질의 일자리가 다 줄어드는데 정부에서 단기 아르바이트 및 노인 일자리로 고용을 떠받치는 건 한계가 있다”며 “경제 체질을 개선해 민간 주도로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