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 구속 취소에 따른 석방에 이은 탄핵심판 선고일이 다가오면서 국론분열은 언제 터질지 모를 활화산 같은 상태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일 벌어진 혼란보다 더 큰 사태가 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당시 박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직후 박 대통령 지지자들은 흥분하며 경찰 버스를 탈취하는 등 헌재 앞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폭동으로 돌변한 시위 현장에서는 결국 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비극이 벌어졌다. 문제는 탄핵심판 선고 전 대국민 담화를 통해 사과한 박 전 대통령과 달리 윤 대통령은 여러 차례 “지지자들과 끝까지 싸우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점에서 향후 펼쳐질 혼란 양상은 더욱 위태로울 수 있다는 점이다.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한 서부지법에 대한 난입 등 폭동 사태가 대표적인 사례다. 경찰도 이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선고 당일 140여 개 부대 9000여 명을 투입해 집회·시위가 제한되는 헌재 100m 이내를 ‘진공 상태’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말 그대로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지금으로선 헌법재판관들의 치열한 토론 끝에 나온 결론이 하나로 모일지, 두 개로 갈릴지는 예측할 수 없다. 다만 헌법재판소는 헌법 합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한 평의를 장기간 이어가고 있다. 이번주 중 선고가 이뤄진다면 박 전 대통령 선고에 걸린 기간(헌재 탄핵사건 접수기준 91일)을 넘기게 된다. 그만큼 이번 사건에 숙고하고 있다는 방증인 셈이다. 헌재가 지난해 말 발간한 구술총서에는 헌법재판관들의 고뇌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지난해 6월 별세한 고중석 전 재판관은 구술총서에서 “정치 상황이나 정치 논리보다는 제 근본 평의에 임하는 태도는 어디까지나 헌법 해석이나 법률 이론에 맞느냐, 맞지 않느냐에 중점을 두고 사건에 임한 것”이라며 “우린 법률 하는 사람이니까 법률에 맞춰서 판단해야지, 다른 거 끌어다가 판단하면 안된다”고 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