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개막한 연례 개발자 행사 ‘빌드 2025’ 기조연설에서 AI 에이전트가 주체가 되는 ‘오픈 에이전틱 웹’ 시대가 본격 시작됐다고 선언했다.
나델라 CEO는 현재 기업들의 AI 활용 단계를 “플랫폼 전환의 중반 이닝(middle innings)”으로 규정하며, “AI를 통해 클라우드나 모바일 못지않은 대규모 혁신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MS가 오픈AI와 공동 개발한 ‘깃허브 코파일럿 에이전트’는 전 세계 개발자 1500만명 이상이 사용 중이다. 기존에는 코드 추천과 자동 완성 기능에 머물렀지만, 이번 업데이트로 개발자의 지시에 따라 특정 기능 구현, 버그 수정, 문서 작성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나델라 CEO는 “깃허브 코파일럿은 단순히 코드를 추천해주는 보조 역할을 넘어, 실제로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동료로 진화하고 있다”면서 “개발자가 맡긴 작업을 스스로 처리하고, 코드 변경 사항을 정리해 제출하며, 작업 과정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진짜 코딩하는 AI’로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
앞서 오픈AI는 지난 2021년 코드 생성에 특화된 AI 모델 ‘코덱스’(Codex)의 초기 버전을 깃허브와 함께 선보였다. 이후 최근 고도화된 ‘AI 코딩 에이전트’ 형태의 코덱스를 공개했다. 이 에이전트는 자체 개발한 최신 추론 모델 ‘o3’를 개발 환경에 맞게 조정한 ‘코덱스-1’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올트먼 CEO는 “처음 코덱스를 만들 때부터 언젠가는 진짜 ‘에이전트가 코딩하는 시대’가 올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이제 현실이 됐다는 게 신기하다”면서 “지금까지 본 프로그래밍 방식의 변화 중 가장 큰 전환점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