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기술 발전으로 생활·경제활동 양식이 비대면으로 변화했다. 때문에 비대면·고액거래에 대한 국민의 경각심은 낮아졌지만 금융·가상자산 가치는 급격히 상승했다.
최근 △피해자 개인·금융정보를 받아 다른 범행에 이용해 △피해자에게 형사책임을 전가하거나 △또 다른 피해자에게는 다른 수법의 사기 범행으로 2차 피해를 가하는 사례를 발견하는 등 범죄수법이 빠르게 악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청은 이러한 수법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적·악성 사기를 중점 단속대상으로 선정하고 시도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사이버수사대 등 전문 수사 인력을 투입한다.
강도 높은 수사를 통해 민생침해형 사이버사기·금융범죄를 엄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범행에 이용되는 명의도용 휴대전화·명의도용 통장 등 각종 범행수단의 생성·유통행위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단속한다. 불법 광고·가짜 사이트는 신속하게 차단해 추가 피해를 방지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사기 범죄는 국민의 어려움을 미끼 삼아 접근하는 조직적이고 악성적인 범죄이다”며 “범죄는 끝까지 추적해 발본색원하고, 취득한 범죄수익은 반드시 환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