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초반 뉴욕증시는 약세를 보였지만,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 국가주석이 주중 전화 통화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공식 밝히면서 상승 곡선을 그렸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나는 (미국과 중국의) 두 정상이 이번 주 대화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이번 통화는 제네바 합의 이후 미중 간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가운데 양국 수장이 톱다운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읽힌다.
미국은 중국이 스위스 합의 이후 핵심광물 수출 금지를 적극적으로 해소하지 않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 무역대표부(USTR)의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는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의 이행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현재로선 불이행(noncompliance)에 가까운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희토류 광물과 같은 핵심 자원 관련 이행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리어 대표는 “중국이 공급하기로 한 핵심 광물의 흐름이 보이지 않는다”며 “중국은 희토류와 자석 등 전략물자 공급을 늦추거나 차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의 희토류 수출 제한에 대한 구체적 입장은 스위스 합의 이후에도 명확히 발표되지 않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달 들어 중국 내 수출업체들은 미국 바이어에게 판매가 가능한지를 정부로부터 명확히 전달받지 못한 채 혼란을 겪고 있다.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율 2배 상향으로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50% 관세 적용을 오는 4일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25%에서 급격하게 2배 인상한 조치로, 미국 철강업체의 부활을 위한 조치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이다. 미국 철강기업 클리블랜드-클리프스 주가는 무려 23.16% 급등했고, 다른 미 철강사인 뉴코어 주가 역시 10.1% 상승했다. 반면 알루미늄 제조사인 알코아는 0.64% 떨어졌다.
매그니피센트 7에서는 알파벳(-1.43%), 테슬라(-1.09%)를 제외하고 대부분 상승마감했다. 메타는 3.62% 급등했고, 엔비디아(1.67%), 아마존(0.8%), 애플(0.42%), 마이크로소프트(0.35%) 역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