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의원은 동교동 사저 매각 후폭풍에 대해 “저로서는 이것저것 노력해봤다가 안 됐고, 저희 형님도 상당 기간 노력했는데 안 됐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못 하는데 정치인들이 얘기를 한다고 과연 될 것인가”라며 동교동 사저의 문화재 지정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먼저 “서울시 공무원들의 권유를 듣고 4년 전에 제가 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신청을 했다가 바로 거부됐다”고 밝혔다. 문화재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건설·제작·형성 이후 50년이 지나야만 가능하다. 50년이 지나지 않은 현대문화유산까지 보존·관리하는 ‘예비문화예산’ 제도는 올해 9월부터 시행된다.
그러면서 “상속세 몇 억 만이라면 어떻게라도 해 봤을 것”이라며 “다른 채무도 있고 저는 국회의원을 그만뒀기 때문에 아무 수입도 없다”고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전했다
매각 결정 전 동교동계 원로 또는 김대중재단 측과 상의했느냐는 질문에 “재단 분들이 맡아서 해보겠다 하셨는데, 죄송한 말씀이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았다”며 “지난 봄부터 그분들도 이거를 어떤 독지가가 매입해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건 알고 계셨다”고 주장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를 매각한 것을 두고 정치권의 비판이 이어지자 “저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문화재 부분은 불가능하다는 게 설명 드렸고 그걸 회복을 하려면 최소한 내용을 제일 잘 아는 저나 새로 매입하신 분, 둘 중 하나는 접촉을 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 아니겠나”라며 “그러나 아까 말씀드린 대로 정치권에서 전화가 한 통도 온 적 없다”고 불편한 심경을 밝혔다.
모금을 통해 상속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 않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금년 초 김대중재단에서 아버님 탄신 100주년 행사를 했다. 그런데 그거 몇 억 드는 것도 모금이 힘들어서 마지막에는 민주당 의원들이 십시일반으로 조금씩 걷어서 도울 정도로 모금이 힘들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한편 동교동 사저는 김 전 대통령이 1961년부터 2009년 타계할 때까지 정치 활동 터전으로 삼았던 곳으로 ‘동교동계’라는 이름을 낳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