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태 이후 극우단체를 중심으로 부정선거와 관련된 가짜뉴스가 빠르게 퍼져 나가는 양상이다. 문제는 유튜버와 SNS를 넘어 일부 언론 매체까지 가짜뉴스 생산에 가담하며 사회의 양극화를 부추기는 점이다. 전문가는 검증 없이 퍼지는 가짜뉴스가 여론을 왜곡하며 갈등을 일으키는 만큼 독자들이 스스로 다양한 매체에서 정보를 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 보도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사실 무근’이라며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선관위는 기사 보도 당일인 16일 “계엄 당시 선거연수원에서는 선관위 공무원 총 119명을 대상으로 5급 승진자 과정과 6급 보직자 과정 등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었다”면서 “해당 기사 내용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결국 미군까지 해명하는 상황까지 전개됐다. 지난 20일 주한미군 측은 “주한미군에 대한 묘사가 언급된 한국 언론 기사의 주장은 전적으로 거짓”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해칠 수 있는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책임 있는 보도와 사실 확인을 촉구한다”고 입장을 냈다.
그럼에도 극우 성향의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자신들이 듣고 싶은 보도를 하는 매체에만 눈과 귀를 기울이는 모습이다. 부정선거 관련 가짜뉴스는 유튜브를 통해 더 양산되고 있고, 진보성향 단체가 경찰을 때려 경찰관이 혼수상태에 빠졌다는 내용의 근거 없는 가짜뉴스가 퍼지기도 했다. 극성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윤 대통령의 체포 당시 입장문 이후 “뉴스 대신 유튜브만 보라”는 말이 더 확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가짜뉴스가 지난 19일 일어난 서부지법 소요 사태와 같은 폭력적 집단 행동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는 사회적 양극화를 부추기는 편향적 뉴스에 대해선 독자들의 경각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가짜뉴스 우려로 공권력이 언론을 검열하거나 탄압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독자들이 기사 속 출처를 꼼꼼히 살피는 등 가짜뉴스에 대한 문해력을 키우면서 편향된 정보에만 치중되지 않도록 다양한 매체에서 정보를 얻도록 노력하는 게 최우선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