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아이콘이고 물은 캐릭터로다 [e갤러리]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손동현 '한림모설'(2024~2025)
청정 이상범 설경산수화 모아 구도
한국화 기법으로 현대 상징물 박아
"과거 형식 빌려 뭘 얘기할까" 고민
보존하는 아닌 '대화하는' 전통으로
  • 등록 2025-05-19 오후 12:31:59

    수정 2025-05-19 오후 12:36:40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얼핏 보면 말이다. 삐죽하게 솟은 곳은 산이고 움푹 패인 곳은 물이다. 맞다. ‘산수화’. 이 풍광에 특별한 게 있다면 산과 물을 덮은 눈이다. 그래. ‘설경산수’. 그런데 과연 이 장면 앞에서 고전색 물씬한 설경산수를 떠올릴 수 있겠는가. 문자인지 기호인지 캐릭터인지 현대적인 상징물이 곳곳에 자리를 잡았으니.

손동현 ‘한림모설’(2024~2025 사진=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작가 손동현(45)의 작업이 바로 그거다. 작가는 전통적인 한국화에 현대적인 오브제·상상력을 삽입하고, 한국화 기법으로 대중예술 아이콘을 그려낸다. ‘팝아이콘’을 한문으로 음차한 ‘파압아익혼’(波狎芽益混)이란 타이틀로 연 첫 개인전(2006)이 신호탄이었다. 슈퍼맨, 슈렉 등을 등장시키더니 얼마 뒤엔 누런 한지에 단청물감으로 그린 마이클 잭슨을 10점 연작으로 꺼내놨다.

“이 시대를 사는 내가 과거의 형식을 빌려 뭘 얘기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단다. 결론은 보존하는 전통이 아닌 대화하는 전통으로 났고. 이제 ‘한림모설’(寒林暮雪·Snow at Dusk in a Cold Forest, 2024~2025)에까지 이르렀다. ‘해 저물 무렵 겨울숲에 내리는 눈’이란 뜻이니 설경산수의 상위 버전쯤 된다고 할까.

모티프가 있다. 근대 한국화 대가인 청전 이상범(1897∼1972)의 산수화다. 그중 설경을 모아 구도를 짰단다.

11월 27일까지 서울 종로구 필운대로 이상범가옥서 여는 개인전 ‘석양에 내려앉은 눈’에서 볼 수 있다. ‘전통의 현대적 변용’이란 의미를 심은 전시다. 종이에 먹·잉크·크레용·인주. 194×130㎝.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손동현 ‘사계산수’(四季山水·Landscape of the Four Seasons, 2024∼2025), 종이에 먹·잉크·크레용·인주, 182×360㎝(8곡병 각폭 45㎝)(사진=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MICE 최신정보를 한눈에 TheBeLT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한복 입고 李배웅, 누구?
  • 영부인의 한복
  • 곽재선 회장-오세훈
  • 걸그룹?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