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하윤 미술평론가] 화가의 자질은 뭘까. 천부적인 재능? 섬세한 감성? 예술적 감각? 아니다. 그보다 더 본질적인 것이 있다. 열정에서 비롯된 성실함이다. 화가라 하면 낮에는 빈둥대고, 밤에는 술잔을 곁에 두고, 감성에 젖어 그림을 그린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거장은 철저하게 일상을 지키고 치열하게 고민하며 꾸준하게 그림을 그렸다. 한국 추상화의 선구자 유영국(1916∼2002) 역시 그랬다.
1916년 경북 울진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유영국은 경성 제2고보 재학 시절 일본인 선생의 불합리한 처사에 반발해 자퇴하고는 일본으로 건너갔다. 예술가의 길을 걷고자 한 결단이었다. 그가 택한 곳은 전위적 예술의 실험장이었던 도쿄문화학원. 정통을 중시하는 도쿄미술학교보다 입학 기준은 느슨했지만 훨씬 자유롭고 개방적인 분위기가 그를 끌어당겼다. 유영국은 그곳에서 동료들과 함께 청년화가 그룹을 결성하고 서구에서 유입되는 최신 미술 경향을 적극적으로 탐구하며 작품활동에 몰두했다.
일본 유학서 귀국 뒤 붓 대신 고깃배 등서 생계 이어
태평양전쟁이 파국으로 치닫던 1943년 유영국은 귀국했고, 첫눈에 반한 여인 김기순과 약 1년의 연애 끝에 결혼식을 올렸다. 신혼부부는 울진에 정착했다. 시퍼런 동해를 접한 벽촌이었다. 대자연 속에서 그림만 그리며 살고 싶었겠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화가로 생계를 잇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유영국은 고기잡이배의 선주로 일하며 아내와 갓 태어난 딸을 부양했다. 한국전쟁 중에는 부부가 함께 양조장을 운영하며 소주 ‘망향’을 만들었다. 병 라벨 디자인도 그가 직접 맡았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이름의 이 술은 동해안 어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판매 수익은 가정의 경제적 기반이 됐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55년 유영국은 번창하는 사업을 타인에게 맡긴 채 가족을 이끌고 상경했다. “나는 금 산도 싫고 금 논도 싫다. 나는 화가가 될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궤도에 오른 사업까지 미련 없이 내려놓고 몰두한 유영국의 작업세계는 ‘추상’이었다. 수익성만 따지자면 소주 반 병 값에도 못 미쳤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는 추상미술에 일생을 걸었다. 일본유학 시절 도쿄화단에서는 초현실주의와 추상이 가장 첨단의 미술로 여겨졌고 유영국은 이를 적극적으로 실험해 왔던 터다.
|
산을 처음 그리기 시작한 이후 유영국은 60여 년 동안 한결같이 이 소재를 붙들었다. 이렇게 오랜 세월 같은 대상을 그렸다고 해서 그의 그림이 반복적이라 생각한다면 큰 오해다. 유영국의 작품에는 단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 오히려 시기마다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1960년대에는 강렬한 색채와 표현적인 붓질로 생동감이 넘쳤고(‘작품’ 1965),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진 보다 정돈된 기하학적 형상이 화면을 지배했다(‘산’ 1970). 1980년대 이후에는 Y자 형태의 나무가 등장하며 산과 나무 같은 자연물이 이전보다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산’ 1984).
이러한 변화는 ‘뜨거운 추상’이라 불리는 한국의 앵포르멜, 기하추상, 구상회화로 이어지는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이렇듯 유영국은 자신의 방향성을 확고히 하되 시대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다양한 변주를 시도했던 것이다.
|
60여 년 동안 ‘산’을 그렸다는 사실도 놀랍지만 그보다 더 눈길을 끄는 것은 유영국이 사용한 색채다. 그의 색은 하나하나에 깊이가 있고 색과 색 사이의 조화는 놀라울 만큼 세련됐다. 보라색과 주황색처럼 다루기 까다로운 보색 대비조차 절묘하게 사용하며 강렬한 원색을 쓸 때도 색 안에 다양한 톤을 섞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화면을 만들어 낸다. 프랑스의 앙리 마티스(1869∼1954)나 러시아 출신의 마르크 샤갈(1887∼1985)만이 색채의 마술사는 아니다. 유영국 역시, 아니 어쩌면 그 누구보다도 우리가 자랑할 만한 색채의 마법사다.
유영국은 평생을 오직 작업에 바쳤다. 1964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거의 해마다 개인전을 열었고 그만큼 방대한 양의 작품(유화 400여점 등)을 남겼다. 직장인이 출근하듯 매일 아침부터 저녁까지 집 안 작업실에 틀어박혀 붓을 들었던 철저한 일상 덕분이었다.
그토록 열심히 그렸고 아내의 헌신적인 뒷바라지까지 받았건만 안타깝게도 유영국은 환갑이 될 때까지 작품을 거의 팔아보지 못했다. 애초에 팔릴 거라 기대하고 그린 그림도 아니었다. 그는 아내에게 “내 그림은 살아 생전엔 팔리지 않아”라는 말을 수없이 되풀이하곤 했다.
|
그런데 인생이 참 얄궂다. 작품이 조금씩 팔리려 하니 몸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1977년 유영국은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심장박동기를 달았다. 이후 2002년 작고할 때까지 25년간 여덟 차례의 뇌출혈을 겪었고 협심증과 고관절 손상 등으로 중대한 수술도 여러 번 받았다. 입원 횟수만 서른일곱 번이었다. 그러나 그 오랜 투병 동안에도 유영국은 끝내 붓을 놓지 않았다.
고난과 불확실 속에서도 매일 작업실로 향하는 꾸준함, 그것은 분명 그림에 대한 깊은 열정의 발현이었을 것이다. 유영국의 삶에서 우리는 진정한 거장의 자질을 본다.
△정하윤 미술평론가는…
1983년생. 그림은 ‘그리기’보단 ‘보기’였다. 붓으로 길을 내기보단 붓이 간 길을 보려 했다는 얘기다. 예술고를 다니던 시절 에른스트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에 푹 빠지면서다. 이화여대 회화과를 졸업했지만 일찌감치 작가의 길은 접고, 대학원에 진학해 한국미술사학을 전공했다. 내친김에 미국 유학길에 올라 캘리포니아주립대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중국현대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한 이후 연구와 논문이 주요 ‘작품’이 됐지만 목표는 따로 있다. 미술이 더 이상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란 걸 알리는 일이다. 이화여대·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미술교양 강의를 하며 ‘사는 일에 재미를 주고 도움까지 되는 미술이야기’로 학계와 대중 사이에 다리가 되려 한다. 저서도 그 한 방향이다. ‘꽃피는 미술관: 가을·겨울’(2025 출간 예정), ‘꽃피는 미술관: 봄·여름’(2022), ‘여자의 미술관’(2021),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2019), ‘엄마의 시간을 시작하는 당신에게’(2018) 등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