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론 투자의 책임은 본질적으로 투자자에게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단순한 투자 실패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구조적으로 거래소에 과도한 권한이 집중된 탓에 사소한 결정을 둘러싼 불신과 논란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증권시장에서는 거래소, 예탁결제원, 심사기관이 기능적으로 분리돼 있으며 외부 심사를 통해 절차적 투명성을 확보한다. 반면 가상자산 시장은 상장부터 폐지까지 DAXA와 개별 거래소가 주도한다. 위믹스의 경우도 명확한 상장폐지 기준이 공유되지 않았고, DAXA는 “최종 결정은 회원사 몫”이라며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다.
상장폐지 심사처럼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은 이해관계에서 벗어난 공공기관이 담당해야 한다. 다행인것은 현재 국회에서 준비중인 디지털자산기본법에선 대통령 직속으로 디지털(가상) 자산위원회를 설치하고, 감시감독을 거래소에서 기구로 이관하는 방안들이 담긴다는 점이다. 새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투자자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 개선에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