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은 우선 지역별 분산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하면서 그에 적합한 상품으로 ‘RISE 글로벌주식분산액티브’를 추천했다. 이 ETF는 미국 50%, 북미 제외 선진국 30%, 신흥국 20%의 비중으로 글로벌 분산투자를 통해 지역 리스크를 관리한다.
두 번째로 제안한 전략은 방어주 섹터 투자 강화다. ‘RISE 미국S&P배당킹’은 50년 이상 배당을 지속적으로 늘린 우량주에 투자하면서 유틸리티·필수소비재 중심으로 변동성 장세에서도 안정적 성과를 추구한다.
세 번째로는 장기 채권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에 투자하면 금리 하락으로 인한 자본차익과 엔화 강세 전환에 따른 환차익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월배당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현금성 자산 확대를 제안했다. ‘RISE 머니마켓액티브’는 현금성 자산을 굴리기에 좋은 상품이다. 3개월 이내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는 머니마켓펀드(MMF)와 유사한 구성으로 안정적 수익을 추구한다.
이어 “3월 고용지표 발표와 4월 상호관세 개시 등 주요 이벤트가 펼쳐지면서 증시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며 “불확실성 속에서도 지역·자산 분산과 더불어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수익 기회를 모색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