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상에서 연간 9조엔에 달하는 일본의 대미 무역흑자를 문제 삼았다. 닛케이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했다.
일본 재무성의 2024년 무역통계에 따르면 일본의 대미 수출액은 21조 6483억엔, 대미 수입액은 12조 6434억엔이다.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9조 48억엔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수입량이 1만 3000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수입량을 72배 늘려야 한다는 의미다. 현실화하면 일본 내 차량 4대 중 1대는 미국산 자동차가 된다. 현재 비중은 1% 미만이다. 닛케이는 “이미 미국산 차량은 무관세로 수입되는 데도 판매가 저조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한 안전 기준 등 비관세 장벽을 완화해도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짚었다.
만약 쌀 구매량을 늘려 무역흑자를 해소하려면 6402만톤을 수입해야 한다. 현재 수입량인 연간 34만톤의 190배에 달하는 규모다. 일본의 연간 쌀 생산량은 791만톤, 소비량은 820만톤 수준이다. 즉 8년치 국내 생산·소비량에 해당하는 쌀을 수입해야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 역시 미국의 연간 쌀 생산량이 700만톤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대미 수출을 줄이는 방법도 있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미국이 자동차·철강에 추가 관세를 유지하고, 24%의 상호관세가 발동하면 일본의 대미 수출이 4조 3000억엔 감소해 무역흑자가 절반으로 줄고,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0.7%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수입 확대·수출 축소를 병행해 무역흑자를 완전히 해소한다고 가정하면 GDP 감소폭은 1.4%까지 커진다. 키우치 노부히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흑자를 한꺼번에 없애려는 수입 확대책을 받아들일 경우 일본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훨씬 커진다”며 “무리한 양보는 삼가야 한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