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즈(RISE) 사업은 윤석열 정부가 시행한 정책이다. 대학 지원 예산 중 일부(약 2조원)를 지역으로 이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대학이 동반 성장을 모색하도록 하고 있다.
총장들은 이런 라이즈 사업 예산의 안정적 확보 가능성을 가장 크게 우려했다. 라이즈 사업에 대한 우려 사항을 1~3순위로 응답받은 뒤 1순위에 3점, 2순위 2점, 3순위 1점을 부여한 결과 예산의 ‘안정적 확보 가능성’이 85점으로 가장 높았다.
라이즈 사업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개선 사항으로는 ‘지역 내 대학 특성별 차별화 전략’이 198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지역 내 대학별 특성화 전략에 대한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어 사업비 배분 권한의 지자체·교육부 간 균형적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46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교협은 “라이즈 사업에 대한 사업비 배분 권한이 지자체에 치중되고 있는 상황을 방증하는 결과”라며 “교육부 차원의 권한 조정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라이즈 사업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5점 척도로 응답)에 대해선 대학 입장의 경우 지·산·학·연 협력 확대(4점)와 지역 인재 양성(3.69점),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 달성(3.65점) 순으로 응답했다. 지자체 측면에선 지역 현안 해결이 3.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역 산업 발전(3.56점), 지역 인재 정주(3.44점) 등이 뒤를 이었다.
지자체가 우선 지원할 사항으로도 안정적 재정 지원 계획이 1순위로, 지자체·대학 간 소통 체계 개편, 지역 리이즈센터의 고등교육 전문성 제고가 2~3순위로 꼽혔다. 대교협은 “라이즈사업에 대한 우려 사항에 이어 교육부 지원 사항에서도 안정적 예산 확보가 1순위로 조사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