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출마여부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으나 확장성 논란에 대해서는 “모든 것을 다해서 사회적 약자를 보살피는 게 공직자의 첫 번째 직군이라는 점을 잊지 않고 살았다”며 적극 반박했다.
김 장관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0·장년 모두 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에 참석했다. 토론회는 나경원·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김 장관은 기조연설을 위해 참석했다.
|
김 장관은 토론회 중간 기자들과 만나 ‘탄핵심판 결과 나오면 대선 출마를 고심하고 있나’라는 질문에는 “그 점에 대해서는 제가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했다.
여권 일각에서 제기하는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서는 과거 재검표 후에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은 민경욱 전 의원 사례 등을 언급하며 가능성이 낮다고 에둘러 말했다.
다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시민들이)부정선거를 주장하면 무조건 아니라고 할 게 아니라 부정선거가 어디서 어떻게 이뤄지고 그 결과가 어떻게 됐는지를 검증해야 한다”며 “검증하고 답하고 그런 부분을 줄여가기 위한 선관위 노력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정치복귀 움직임에 대해서는 “한 전 대표도 훌륭한 점이 많고 다른 어떤 후보든지 어떤 대한민국 국민이던지 다 대선에 출마할 수 있는 것 아닌가”라며 “이준석처럼 나이가 모자라 가지고 자격이 안 되는 이런 분들 빼고 나오겠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자격이 있는 분은 어떤 분이라도 출마 선언할 수 있고 (출마의)뜻을 밝히는 게 자유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모습”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