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한영 기자] 국민의힘은 19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와 관련해 추가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자 “적성국에 의한 해킹 가능성을 추적할 수 있는 조사를 전방위적으로 확대하라”고 민관합동조사단에 촉구했다.
 |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SK텔레콤 T타워 SUPEX홀에서 SK텔레콤의 해킹 사고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
|
국민의힘 정책위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일동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오늘 정부와 SKT의 유심정보 2차 조사 결과에서 악성코드 감염이 계속 확인됐다”며 “특히 개인정보가 임시로 저장되는 서버에서 감염이 확인됐고, 단말기 고유식별변호가 일부 서버에서 임시 저장된 사실도 밝혀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조사를 진행 중인 민관합동조사단은 악성코드가 최초로 SK텔레콤 서버에 설치된 시점은 2022년이며, 현재까지 23대의 서버에서 악성코드 25종이 발견됐다고 확인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통신사의 핵심서버에 오래전 침투한 사실도 확인됐다”며 “본 SKT 해킹 사고가 국가적 차원의 해킹 그룹에 의한 사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했다.
이어 “신속한 사이버테러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민관 합동조사단은 적성국에 의한 해킹가능성을 추적할 수 있는 조사를 전방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정부는 앞으로 있을 추가 조사에서도 투명한 조사 결과는 물론, 국민의 피해를 절대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범정부차원의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정부 관련 당국은 기존 악성코드를 모니터링하고 공공기관과 기업에 전달하는 역할, 다크웹 상황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국가 전략적 차원의 사이버 국민보안 대응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국내 정보통신 기업들 또한 정보보호관리 수준을 최상급으로 높여 사이버 공격에 기업 경영이 위협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이를 위해 국민의힘과 새정부는 국가 보안 거버넌스 위원회를 대통령 산하의 과기부·국방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국가정보원 등 관계 부처와 합동해 조직하고, 국가 보안 거버넌스 로드맵과 관련 기관 설립, 예산 확보 등을 추진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는 국가안보의 핵심이자 국민 안보 그 자체”라며 “국민의힘은 국민과 국가를 적성국가와 위험한 세력의 사이버 공격 테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