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TV 토론에서 “원전은 기본적으로 위험하고 지속성에 문제가 있다”며 “원전을 활용하되 너무 과하지 않게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전환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 때의 탈원전 정책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지 않느냐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질의에 “원전은 일도양단으로 판단할 수 없다”며 이렇게 답했다.
이 후보는 지난 21대 대선 땐 발전원 중 원전 비중을 줄여나간다는 ‘감(減)원전’ 정책을 꺼내 들었는데, 이번 대선 땐 원전에 대해 직접 언급 없이 재생에너지 확대 공약만 강조하며 좀 더 유보적 입장을 취해 왔다. 대량의 전력 공급이 필요한 인공지능(AI) 확대를 1호 공약으로 내건 만큼, 원전업계에서도 원전을 이전보다 더 실리적으로 바라보리란 기대감이 나오기도 했다.
에너지업계는 이 후보의 이날 발언에 대해 당선되더라도 기존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은 추진하지만, 그 이후의 추가적인 원전 건설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법적 절차에 따라 수립된 기존 계획까지 뒤집지는 않지만, 원전 안전성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가 있는 ‘완화적 감원전’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현 계획 이상의 추가 원전 확대 가능성은 낮아질 전망이다. 정부는 곧 12차 전기본(2026~2040년) 수립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해 내년 말까지 이를 확정한다는 목표인 만큼, 새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관련 검토가 이뤄지게 된다.
업계는 지금껏 내년에 수립될 12차 전기본에서 추가적인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나올 수 있다고 봤다. AI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확대 때문이다. 실제 11차 전기본도 원래는 지금보다 1기 많은 ‘원전 3기+SMR 1기’ 안으로 수립했다가 계엄·탄핵 정국 속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의 요구를 반영해 1기를 줄인 형태로 확정됐다. 그러나 감원전에 대한 이 후보의 의지를 확인한 만큼 이 후보가 당선되면 중장기 전력 수요에 대한 대응도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꾸려갈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판단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나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당선된다면 현 원전 중시 정책 기조를 이어받아 신규 원전 건설이 적극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원전 비중 60% 확대를 통한 산업용 전기요금 감면 공약을 내건 김 후보는 이날 토론회에서 “AI 3대 강국을 하면서 어떻게 원전을 짓지 않을 수 있나”라며 “값싸고 안전한 원전을 안 하는 것은 잘못된 환경론자의 주장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도 이재명 후보의 전남 대규모 데이터센터 조성 공약을 거론하며 “풍력은 안정적인 전력이 필요한 (AI) 데이터센터에 적합하지 않아 결국 (전남) 영광 원전 등에 의존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