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의 반발에 대한 한국 측 입장을 묻자 “한중은 개별 사안이 양국 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하에 외교채널을 통해 상호 관심사에 대해서 항상 긴밀하게 소통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지난 15일(현지시간) 3자 회담을 갖고 이후 ‘대만의 적절한 국제기구의 의미 있는 참여를 지지한다’는 공동성명을 내놓은 바 있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며 대만의 국제기구 가입 등에 반발하고 있다.
이어 “금번 딥시크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은 한국의 일방적·직접적 차단이 아닌 우리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중국의 딥시크 간 사전 소통을 통한 잠정 조치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권고로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국내 신규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으며, 이에 중국 외교부는 한국을 향해 ‘경제·기술 문제를 안보화·정치화하지 말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