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소득대체율…한발 물러선 민주당
14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민주당 현장최고위원회에서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과 정부가 주장해온 소득대체율 43%안을 수용하겠다”면서 “국가지급보장 명문화, 출산 및 군복무 크레딧 확대 등의 안을 국민의힘이 최종 수용하면, (우리도 소득대체율) 43% 안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반대한 자동조정장치 도입 여부에 대해 당장 논의하지 않기로 한발 물러서고 당초 주장하던 소득대체율 40%도 43%로 수정해 제시했다. 소득대체율 44%를 주장하던 민주당도 내부에서 논의하겠다고 했다.
|
진성준 정책위원장은 “이번 개혁으로 국민보험료가 증가하게 된다”면서 “그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가입 기간 추가 인정 크레딧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정부도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협의에 대해서는 여야 합의를 존중하고, 야당이 제시한 전제조건에 대해서는 국회와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연금 얼마큼 더 내고 더 받을까
여야의 극적 합의는 연금 고갈 상황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보험료율은 9%, 소득대체율은 41.5%, 수급개시연령은 63세가 적용되고 있다.
40% 정도를 받으려면 내는 돈은 19.7%이어야 한다. 70년 후에도 1년 치의 급여를 주려면 부담해야 할 보험료율은 18.1%이다. OECD 평균보험료율 18.2%를 감안하면 보험료율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번 합의로 내는 돈인 보험료율만 보면 9%에서 13%로 인상돼, 내년부터 2033년까지 8년간 연평균 0.5%포인트씩 총 4%포인트가 오른다.
월 250만원 소득자는 현재 매월 22만 5000원씩 쌓고 있는데 이 중 근로자는 11만 2500원 납부 중이다. 내년 인상률이 적용되면 총 납부액은 23만 7500원, 근로자 납부액은 11만 8750원으로 현재보다 6250원을 더 내게 된다. 한 달에 커피 한두 잔만 줄여도 미래를 위한 연금을 더 쌓을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도 조금 더 늘어나게 된다. 국민연금이 처음 도입된 1988년 소득대체율은 70%였다. 1999년 60%, 2008년 50%로 낮아진 이후 매년 0.5%포인트씩 인하해 2028년 40%에 수렴할 예정이다. 현재 소득대체율은 41.5%가 적용되는데, 이르면 내년부터 소득대체율 43%가 적용돼 연금수령시기에 예상 연금보다 조금 더 받을 전망이다.
현재 하루 885억원, 한 달로는 2조 7000억원, 연간으로는 32조원의 적자가 누적가 누적돼 2056년에 연금이 고갈될 예정이었다. 이번 개혁이 이뤄지면 누적 적자가 6973조원 정도 줄어 고갈시점은 2071년으로 15년 미뤄질 전망이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공동대표는 “양당이 나름대로 양보, 절충한 것에 다행스럽다고 생각한다”며 “이건 급한 불을 끈 거에 불과하다. 앞으로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발족하면 구조개혁 논의의 핵심인 기초연금 급여 개편 등도 심층적으로 논의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