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기간 매출액은 793억 7206억원으로 전년대비 9%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56% 증가한 104억 3340만원을 기록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프리미엄 뷰티 시장 확대로 인해 당사의 고부가가치 제품인 천연 실리카 비드와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원료에 대한 발주량이 꾸준히 증가하며 매출과 이익 상승에 크게 기여했다”며 “인도네시아를 필두로 한 동남아 시장에서도 수요가 급증하면서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해외 매출 비중이 약 85%에 달하는만큼 고환율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2023년 미국 뷰티 규제 선진화법(MoCRA) 시행 이후 제조사들의 FDA 인증 원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선진뷰티사이언스의 매출 성장에도 가속도가 붙고 있다.
오는 6월에는 뷰티 완제품 제조를 위한 신공장을 준공하며, 연구·개발·생산(ODM) 사업에도 본격 진출한다.
기존 소재 공장과 마찬가지로 ODM 신공장 역시 FDA 생산 기준에 맞춰 설계됐고, 선케어 제품 중심으로 한 미국 일반의약품(OTC) 시장 등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자외선 차단 소재, 마이크로비드, 스킨케어 소재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현재 샤넬, 로레알, 에스티로더 등 다수 글로벌 뷰티 브랜드를 포함한 50여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