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부터 구리시가 줄곧 서울시 편입을 추진하는 것을 경계하는 경기도 내 정치권이 GH의 구리시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걸겠다는 의지인데 당사자인 구리시는 이전을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중인 만큼 자칠 없이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19일 경기도와 구리시 등에 따르면 두 기관은 2021년 6월 GH의 구리시 이전을 위한 협약을 맺고 2026년까지 수원특례시에 소재한 GH 본사를 구리시 토평동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구리시와 GH는 토평동 990-1에 지상 19층 지하 3층 규모의 건물을 신설하는 계획을 세웠으며 도는 지난해 12월 이와 관련한 ‘구리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 결정(변경)안’을 조건부 의결하는 등 행정절차도 진행했다.
|
남양주시의회 역시 지난 10일 GH 이전 대상지를 남양주시로 변경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경기주택도시공사 북부 이전지 재검토 건의안’을 채택했다.
정치권이 파장을 일으키자 남양주 다산신도시총연합회도 힘을 보탰다. 연합회는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경기도는 구리시의 GH 이전 후보 자격을 박탈하고 남양주시를 신규 이전지로 재선정하라”고 촉구했다.
이런 논란은 구리시 내부까지 확산되고 있다. 지난 18일 출범한 뉴구리한강포럼은 백경현 구리시장을 향해 “서울 편입 추진에만 올인해 GH 이전 중단 위기를 자초했다”고 목소리를 냈고, 신동화 구리시의회 의장도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 사이에 관련 논란이 확산되는데다 구리시 이전이 진행중인 GH를 남양주시로 송두리째 빼앗길 수도 있는 상황이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시는 “서울편입은 많은 시민이 원하는 사안으로 현재 진행중인 용역 역시 기초자료를 수집·작성하는 것일 뿐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GH의 구리 이전 재검토 주장은 논의할 필요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당시부터 이런 이야기가 나왔지만 변경사항 없이 당초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