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라면 중 일부는 가격이 2000원 안팎이다. 농심(004370) 봉지라면 중에서는 ‘신라면블랙’이 1900원으로 2000원에 육박하고, 오뚜기에선 컵라면류인 ‘진짬뽕’, ‘열치즈라면’, ‘짜슐랭’ 등 10종 정도다. 대부분 단가가 비싼 컵라면류의 가격이 2000원대다.
하림의 ‘더 미식 오징어라면’(2200원), 푸디버디 ‘하양라면’(2000원) 등 봉지라면 중에서도 2000원을 넘는 제품들도 있다. 특히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컵라면류인 ‘하림 장인라면 매움주의’(2봉지 기준 5800원)의 경우 봉지당 2900원이고, ‘하이디라오 쏸라펀 대컵’(3200원) 등 해외 지식재산(IP) 제품군의 경우엔 더 비싼 경우도 있다.
실제 업계에선 이 대통령의 발언으로 물가 안정에 동참해야 할지 고민에 빠진 상태다. 라면을 포함한 가공식품 업계는 최근 6개월간 가격을 집중적으로 인상한 바 있다. 조기 대통령 선거 직전까지 식품업계 전반에서 가격 인상이 이뤄졌다. 국내 라면업계도 마찬가지다. 여러 업체들이 올 상반기 출고가를 올리면서 타깃이 된 모양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한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며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부담으로 가격인상이 불가피했지만 국민 생활 안정 차원에서 인상폭을 최소한으로 결정했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가공식품 업계 관계자는 “현재 이익률이 한 자릿대인 식품업계의 수익 구조를 보면 가격 인상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새 정부가 기업들의 경영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소들을 먼저 해소시켜주는 등 물가를 잡기 위해 산업 측면에서도 적절한 정책을 병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