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수급이 주가 상승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동기간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5491억원 사들였으나 SK하이닉스를 1162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덕분에 삼성전자는 어느새 5만7000원대를 회복하며 ‘6만전자’를 넘보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20만원대를 회복했다.
시장에서는 반도체 다운사이클이 바닥을 찾아가고 있는데다 주가를 압박하던 미국 관세 압박 강도가 최근 느슨해진 것에 주목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칩스법 폐기 우려도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에 상당 부분 사그라들었다. 리스크가 줄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줄자 외국인을 중심으로 저가 매수에 나섰다는 것이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반도체 부진이 길어지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칩스법을 전면폐기할 가능성은 높지 않고 개정도 핵심을 비켜갈 수 있다”며 “칩스법 전면 폐기는 민주당 뿐만 아니라 공화당 내부에서도 반발에 부딪칠 공산이 크다”고 진단했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메모리 중심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1분기가 반도체 업황의 저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감산 및 재고조정이 진행중인 낸드 분야에서 샌디스크가 가격 인상 계획을 발표했으며 조만간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가동률 확대, 가격 인상 참여 가능성을 높여준다”며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에 따른 수요 증대로 국내 IT 기업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