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개 국가의 국방장관은 이날 공동 성명에서 “러시아와 벨라루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나토 회원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크게 증가했다”면서 “우리의 안보를 방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고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취약한 동쪽 측면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무기 체계와 해법을 사용할 유연성과 선택의 자유를 우리 군에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4개국은 대인지뢰금지협약을 탈퇴하더라도 무력 충돌 시 민간인 보호를 포함한 인도주의 법을 계속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빌 사칼리엔 리투아니아 국방부 장관은 별도의 성명에서 “오타와 협약 탈퇴 계획은 지역 국경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댄 핀란드도 지난해 12월 러시아가 대인지뢰를 쓰고 있다며 협약 탈퇴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리투아니아는 지난해 7월 의회 의결을 거쳐 이달 6일 집속탄 금지협약(더블린 협약)에서 공식 탈퇴했다.
지뢰모니터가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미얀마, 이란, 북한 등이 2023년과 2024년에도 여전히 지뢰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