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상품은 트러스톤자산운용의 ‘TRUSTON 코리아밸류업액티브 ETF’였다. 이 상품의 이날 종가는 1만630원으로 집계돼 상장 첫날 종가(9900원) 대비 7.37% 올랐다. 이 ETF는 한국거래소의 코리아밸류업 지수를 비교지수로 삼아, 신규 편입이 예상되는 종목을 선제적으로 담고, 우선주를 활용해 초과수익을 창출하는 액티브 전략을 구사하는 게 특징이다.
두 번째로 수익률이 높은 상품은 신한자산운용의 ‘SOL코리아밸류업TR ETF’로 6.94%를 기록했다. 이 상품 역시 코리아밸류업 지수를 추종하며, 관련 상품 중 유일하게 배당 재투자 전략을 사용하는 점이 차별화 요인이다.
밸류업 ETF 중 유일하게 손실을 기록한 상품은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TIMEFOLIO 코리아밸류업액티브 ETF’였다. 손실률은 0.41%로 집계됐다. 이 ETF는 액티브형 상품으로 기업가치와 주주환원 정책을 고려해 수시로 리밸런싱을 실시했지만 오히려 패시브형 ETF보다 더 수익률이 낮았다.
밸류업 ETF 상품 대다수가 최근 반년 동안 견조한 수익률 보인 것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압박 속에서도 코스피 기업 중심으로 밸류업 공시를 비롯한 주주환원 정책이 실시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날까지 밸류업을 공시한 기업은 150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코스피 기업이 118곳(78.7%)을 기록한 반면, 코스닥 기업은 32곳(21.3%)에 불과했다.
자사주 소각 등의 이행 내역을 추가로 공시한 상장사도 코스피 업체가 3곳으로 대부분이었다. 메리츠금융지주(138040)가 대표적인 사례다. 메리츠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밸류업 이행현황을 공개하고, 자사주 매입·소각 수익률이 11.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KT(030200)와 KB금융(105560)도 배당 및 자사주 매입 등의 이행 현황을 제시했다. 반면 코스닥 상장사 중에선 밸류업 이행 내역을 공시한 상장사는 에프앤가이드 1곳뿐이었다.
근본적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선 지배구조 개혁을 통한 밸류업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된다. 김우찬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재벌 총수가 아닌 주주 중심의 구조적인 거버넌스 변화를 추진해야 해야 한다”며 “총수가 책임경영에 임할 수 있도록 견제권한을 일반 주주에게 주거나, 이해 상충되는 사안을 결정할 때 주주의 동의를 얻도록 하는 방식의 지배구조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