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유럽 벤치마크인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21일 장중 2.78%까지 치솟아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추가 금리인상 및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급등한 영향이다.
앞서 ECB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기존 4.25%에서 4.50%로 인상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에 직면할 것이란 우려에도 ECB는 이달까지 10차례 연속 금리를 올렸다. 8월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대비 5.3% 상승해 시장 예상(5.1%)을 웃돈 데다, 독일(6.4%), 프랑스(5.7%) 등 주요국 물가도 고공행진을 지속했기 때문이다.
이에 유로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0.1%), 올해 1분기(0%)를 기록해 기술적 침체에 빠졌다. 2분기에 0.3%로 반등했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특히 독일의 성장률은 작년 4분기(-0.4%), 올해 1분기(-0.1%), 2분기(0%) 등 아직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ECB는 물가 안정이 최우선이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침체는 감내하겠다는 입장이다.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의 요아힘 나겔 총재도 지난 21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유로존 경제에서 높은 물가가 고착화하는 시나리오를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유럽 금융시장에선 3%대 금리가 향후 몇 년 동안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는 초저금리에 익숙했던 이 지역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잃어버린 20년’을 겪었던 일본에서도 3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월까지 CPI 상승률이 12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며 일본은행(BOJ) 목표치(2%)를 웃돌았다. 미국과의 장기금리 격차 확대로 엔저가 계속돼 인플레이션 우려를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일본은 거의 모든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해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부담이 더욱 크다.
시장에서 긴축 요구가 잇따르는 가운데,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지난 22일 “물가 목표 실현을 전망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YCC 철폐와 마이너스 금리 수정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금은 그러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