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한국 사회가 빠른 속도로 고령화하는 상황에서 미래 재정이 악화할 거라는 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등으로 재정 적자를 늘리기보다 과감한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국민의 부담을 낮춰야 합니다.”
전영준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조세 수입 확보는 어려워지고 지출 요인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국가의 재정 부담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재정전문가인 전 교수는 제43대 한국재정학회장을 지냈다. 그는 다음 달 18~19일 열리는 제16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첫날 발표자로 나서 고령화 심화에 따른 재정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할 예정이다.
|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에 복지 지출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재정 부담 역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본예산(673조3000억원) 기준 정부가 임의대로 줄일 수 없는 의무지출 비중은 54.2%다. 이 비율은 2028년 57.3%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금·의료 등에 투입되는 의무지출이 불어날수록 경기 대응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예산(재량지출)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의무지출 중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에 대해서도 더 큰 변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그에 따르면 최근 국회를 통과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각각 13%·43%로 올리는 내용의 국민연금 모수개혁안은 ‘효과 없는 개편’이라는 지적이다. 기금 고갈 시기는 8년 미뤄지지만 후세대가 메워야 하는 빚은 여전히 큰 규모라는 것이다. 그는 “시한폭탄의 속도는 늦췄지만 그 크기는 더 키운 것”이라고 했다.
전 교수는 “이외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 등 복지 재정도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빠르게 늘어나는데 그렇게 되면 사회간접자본(SOC), 경기 대응 등을 위한 재량 지출의 범위가 좁아진다. 국가 재정의 기능이 충분히 작용할 수 없다”며 개혁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
이 같은 근본적인 개편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관성적인 추경안 편성 등으로 재정 부담이 더 커지고 있다고 전 교수는 분석했다. 앞서 지난 1일 13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추경으로 나라의 실질적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2.8%에서 3.3%로 늘어난다. 정부가 2022년 설정한 ‘관리재정수지 적자 3% 이내’라는 재정준칙 기준을 또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이다.
6월 새 정부가 들어선 후 미래 재정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지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견해다. 전 교수는 “건강보험 구조 개편, 연금 개혁, 지방 재정 개편 등을 최우선적으로 하지 않으면 정부의 (정책적 대응 등) 활동이 제약되는 시기가 생각보다 빠르게 올 것”이라고 당부했다.
전영준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 학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 △기금운용평가단 평가위원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재정세제 전문위원 △사회보장위원회 재정통계 전문위원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