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는 ‘자유 주도 성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첫 번째 공약으로 내걸었다. 그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투자 저해 규제는 정비하고, 신산업·신기술에 대해선 ‘자유경제혁신 기본법’을 만들어 규제를 없애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법인세·상속세 최고 세율을 낮추고 노사 합의에 기반해 주52시간 근로제를 개선하겠다고도 공약했다. 또한 통상 여건 개선을 위해 취임 즉시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해 관세 패키지 협상을 이루겠다는 게 김 후보 구상이다.
김 후보는 ‘중산층 자산증식’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종합소득세 물가연동제와 기본 공제 확대,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허용,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세제 지원 확대 등을 추진한다. 부동산 분야에선 종합부동산세 개편, 양도소득세 중과세·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기초자치단체로의 재건축·재개발 권한 이양 등이 공약에 들어갔다.
김 후보는 청년 표심을 겨냥해선 청년이 주도하는 2차 연금개혁을 약속했다. 또한 결혼하면 3년, 첫아이 3년, 둘째 아이 3년, 총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3·3·3 청년주택’을 매년 10만 호 공급하겠다는 구상도 공개했다. 또한 군 가산점제 부활과 여성희망복무제 도입도 공약했다.
김 후보는 정치 분야에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폐지하고 국회의원의 불체포 특권을 없애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정치권력을 악용한 수사·재판 방해를 처벌하는 사법방해죄를 형법에 신설하겠다고도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사법 리스크를 겨냥한 공약이다. 김 후보는 북핵 대응을 위해선 미국 전략자산을 상시 주둔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개하겠다고 했다. 또한 핵 잠재력 확보를 위해 핵 추진 잠수함 개발을 추진하고 한·미 원자력협정을 개정해 우라늄 농축·플루토늄 재처리 기술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