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DSC인베스트먼트, 엔비디아 제친 AI 반도체..퓨리오사AI 투자사 부각 '강세'
  • [특징주]DSC인베스트먼트, 엔비디아 제친 AI 반도체..퓨리오사AI 투자사 부각 '강세'
  • [이데일리TV 이지은 기자] DSC인베스트먼트(241520)의 주가가 오름세다. AI 열풍으로 AI 반도체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엔비디아의 성능을 제친 퓨리오사AI의 워보이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DSC인베스트먼트는 퓨리오사AI의 투자사다.9일 오후 1시 47분 DSC인베스트먼트는 전일 대비 0.78% 오른 4500원에 거래 중이다.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챗GPT’가 AI 반도체 수요를 촉발시킨 가운데 AI 반도체 업체 ‘퓨리오사 AI’가 주목받고 있다. 퓨리오사는 AI 반도체 팹리스(설계) 전문 스타트업으로 컴퓨터 비전용 고성능AI 반도체 ‘워보이’를 출시해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워보이는 컴퓨터 비전용으로 시각 인식 작업을 수행한다.앞서 퓨리오사AI는 글로벌 AI 반도체 벤치마크 대회 ‘엠엘퍼프’에서 워보이가 엔비디아의 T4보다 이미지 분류와 객체 검출의 처리 속도 면에서 높은 성능을 기록한 바 있다. 엠엘퍼프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스탠퍼드, 하버드 등 유수 기업과 연구기관이 매년 주최하는 글로벌 AI 반도체 벤치마크 대회다. 이에 지난 2021년 퓨리오사AI의 시리즈B 투자에 참여하고 후속 투자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DSC인베스트먼트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린 것으로 풀이된다.
2023.02.09 I 이지은 기자
웅진, MS '기업용 챗GPT'출시..MS와 기관 AI·클라우드 전환 파트너쉽 부각 '강...
  • [특징주]웅진, MS '기업용 챗GPT'출시..MS와 기관 AI·클라우드 전환 파트너쉽 부각 '강...
  • [이데일리TV 심영주 기자] 웅진(016880) 주가가 오름세다.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업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사의 검색 엔진 빙(Bing)에 인공지능(AI) 챗봇을 장착할 것이란 소식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웅진은 지난 2020년 M와 함께 고객사의 SAP on 애저 구축 및 애저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기회를 함께 발굴하고, 인공지능(AI) 기반 기업 디지털 전환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9일 오전 10시 27분 웅진은 전일 대비 3.90% 오른 1517원에 거래되고 있다.7일(현지시간) MS는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에 있는 MS 본사에서 언론 행사를 열고 AI 기반의 새로운 검색 엔진 ‘빙’을 발표했다. 새로운 버전의 빙은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AI 챗봇인 챗GPT와 같은 AI 모델이 탑재된다. 챗GPT는 개발사 오픈AI가 개발한 모델이다.MS는 검색 엔진 빙과 함께 웹브라우저인 엣지 브라우저에도 AI 기술이 탑재된다고 덧붙였다.이런 가운데 더욱 눈길을 끄는 건 MS가 챗봇의 기업형 버전을 출시할 것이란 소식이다. IT 전문 일일 매체 ‘IT DAILY’는 CNBC를 인용, MS가 챗GPT와 유사한 챗봇의 기업형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MS는 기업, 학교, 정부가 챗GPT로 자체 챗봇을 만들 수 있는 기술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고객 맞춤형 유사 챗GPT를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이다.웅진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해 MS와 Azure 파트너쉽을 체결했으며, Gold Partner로 승급했다. 지난 2020년 웅진은 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고투마켓(Go-To-Market) 협력 MOU를 체결하고, MS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 기반의 전사적자원관리(ERP) 및 유관시스템 전환에 손을 잡았다고 밝힌 바 있다.
2023.02.09 I 심영주 기자
춤추던 네카오, 2%대 하락…AI 오답에 금리 우려
  • [특징주]춤추던 네카오, 2%대 하락…AI 오답에 금리 우려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NAVER(035420), 카카오(035720) 등 인터넷 대형주가 장 초반 2%대 동반 하락하고 있다. 간밤 미 증시는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 구글 인공지능(AI) 챗봇 GPT에 대한 기대감 후퇴로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했다.9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10분 NAVER는 전 거래일보다 6000원(2.60%) 하락한 22만4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카카오는 1700원(2.46%) 하락한 6만7400원에 거래 중이다. 미 증시에서 나스닥은 1.68% 하락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고금리 기조를 향후 몇 년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 긴축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역시 경제지표 상으로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증거가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미 증시에서도 정보기술(IT) 업종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알파벳(-7.68%)는 구글의 AI 챗봇 ‘바드’가 AI 행사에서 부정확한 답변을 내놓은 영향으로 정확도에 대한 우려 확산되며 급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0.31%)는 AI 챗봇을 탑재한 새로운 버전의 ‘빙’을 공개하며 개장 전 4%대 급등을 보였으나 상승폭 축소하며 약보합 마감했다. 전일 바이두에 이어 알리바바(-0.37%) 역시 챗 GPT의 경쟁 대상이 될 자체 기술을 내부적으로 테스트중이라고 발표하며 AI 업계 경쟁 심화를 시사했다는 평이다.국내 증시에서 AI 테마주의 변동성을 유의해야 한다는 조언이 따른다. 전일 국내 증시는 미국 증시 강세 및 GPT 및 AI 관련 테마 강세 속 외국인 4000억원대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지만, 이날은 연준 매파적 기조 강화에 따른 부담감 누적 속 나스닥 급락 여파에 차익실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예상이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업종·테마 관점에서는 전일에도 국내 시장에서 관심이 높았던 GPT 관련주들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하다”며 “전일 미국 증시에서 알파벳(-7.7%)이 자체 GPT 인 바드의 시연회에서 잘못된 답변을 제시한 것에 따른 실망감으로 주가가 급락한 점은 국내 관련주 투자심리 변화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2023.02.09 I 이은정 기자
애플페이 상륙에 하인크코리아 16% ↑
  • [특징주]애플페이 상륙에 하인크코리아 16% ↑
  •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간편결제 서비스 전문기업 하인크코리아(373200)가 애플페이 국내 출시를 앞두고 강세를 보이고 있다. 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55분 현재 하인크코리아는 전 거래일보다 1380원(16.34%) 오른 9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이날 하인크코리아는 ‘바로다 포스(POS)’를 밴(VAN·부가통신업자) 단말기에 연동해 애플페이도 사용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바로다POS는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매장 주문관리 프로그램이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양한 외부 주문 채널에 연동이 수월하며, 추가 기능에 대한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우리나라 메이저급인 VAN사와 추가 연동이 예정돼 있고, 온라인 애플페이 결제도 상반기에는 서비스 도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바로다 서비스는 가맹점주와 일반 사용자들이 온·오프라인에서 결제할 수 있는 양방향 결제 서비스다. 매장에서 별도의 앱이나 키오스크를 거쳐 결제하지 않고 큐알(QR)코드나 근거리 무선통신(NFC) 등으로 바로 주문이 가능하다. 바로다 서비스 내 ‘바로다 POS’는 근접무선통신(NFC) 기술을 기반으로 오프라인에서, ‘바로다 오더’는 온라인에서 사용된다.하인크코리아 관계자는 “NFC 단말기는 국내 보급률이 10% 미만으로 저조하기 때문에 비접촉식 간편결제 시스템인 애플페이가 국내에서 출시되면 바로다 서비스의 사용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VAN 단말기에 애플페이 연동을 시작으로 바로다를 더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3.02.08 I 최훈길 기자
AI 훈풍에 반도체 투심도 '쑥'…삼성전자 1%대↑
  • [특징주]AI 훈풍에 반도체 투심도 '쑥'…삼성전자 1%대↑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가 장 초반 나란히 1%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AI) 관련주 훈풍에 미국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대 올랐다. 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10분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900원(1.45%) 오른 6만2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SK하이닉스(000660)는 1200원(1.32%) 오른 9만2000원에 거래 중이다. 간밤 미 증시는 기술주 강세 속 일제히 상승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78% 상승한 3만4156.69에 마감하며 2만4000선을 회복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29% 오른 4164.00을 기록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90% 뛴 1만2113.79에 마감했다. 이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12% 강세를 보였다. 전일 대화형 AI ‘바드’를 공개한 구글, 기반 기술의 핵심인 엔비디아 등 AI 테마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5.14% 급등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대담에서 2023년에는 인플레이션이 크게 감소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자 나스닥이 한 때 급등했고, 혁신적 AI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상승 마감했다”고 말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월 고용 서프라이즈로 인해 단기 전망 수정을 고민하고 있으나, 중기적인 전망은 기존대로 유지했다”며 “미국 증시에서 AI, GPT 이슈와 관련해 마이크로소프트, 엔디비아 등 테크 및 반도체주들이 급등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2023.02.08 I 이은정 기자
SK가스, 어닝서프라이즈 속 ‘비중확대’ 의견에 3%대↑
  • [특징주]SK가스, 어닝서프라이즈 속 ‘비중확대’ 의견에 3%대↑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SK가스(018670)가 향후 영업이익 감소 전망에도 불구하고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장초반 강세다. 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1분 현재 SK가스는 전 거래일 대비 3.31%(3900원) 오른 12만1900원에 거래 중이다. SK가스는 지난해 4분기 실적으로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6.4% 증가한 1조 9500억 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한 1620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이에 신한투자증권은 SK가스의 실적과 배당이 모두 기대치를 넘어섰다며 매수 의견과 함께 목표주가를 17만원으로 6.3% 상향 조정했다. 박광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SK가스는 2022년 매 분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며 이익의 기초체력이 한 단계 상향 조정되었음을 증명했다”며 “특히 연간 파생상품 평가손실이 580억원을 기록하는 가운데에서도 전년 수준의 세전이익을 달성한 점은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올해는 역기저효과로 실적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이를 비중 확대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는 “올해에는 LPG 판가 하락과 지난해 호실적에 따른 역기저효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세전이익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그러나 내년부터 LNG 관련 사업 가시화로 나타날 외형 성장을 감안할 때 실적 감소로 인한 주가 하락을 비중 확대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2023.02.08 I 이정현 기자
YBM넷, YBM 투자 'AI플랫폼'...美구글 본사 전략적 지분 투자 유치 부각 '강세&...
  • [특징주]YBM넷, YBM 투자 'AI플랫폼'...美구글 본사 전략적 지분 투자 유치 부각 '강세&...
  • [이데일리TV 심영주 기자] YBM넷(057030) 주가가 오름세다. 구글이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에 맞설 대항마 출시를 공식 발표한 가운데 YBM이 투자한 AI 생성 학습 플랫폼 ‘콴다’를 운영하는 매스프레소가 구글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은 사실이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YBM은 YBM넷의 모기업이다.7일 오후 1시21분 YBM넷은 전일 대비 4.23% 오른 4680원에 거래되고 있다.6일(현지시간)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회사 공식 블로그를 통해 “새로운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바드’(Bard)가 신뢰할만한 테스터들에게 개방될 것”이라며 “향후 수 주안에 일반인들을 위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동안 현지 매체를 통해 구글이 챗GPT와 경쟁할 AI 챗봇을 조만간 출시할 것이라고 전해졌지만, 공식 발표한 것은 처음이다.구글은 자체 개발한 AI 언어 프로그램 ‘람다’(LaMDA)를 통해 바드를 구동할 계획이다.이에 구글이 ‘콴다’를 운영하는 매스프레소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는 사실이 덩달아 주목받는 모양새다. 지난 2021년 11월 매스프레소는 구글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매스프레소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학생들에게 통합적인 디지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장기적인 협력 방안을 구글과 모색할 계획”이라며 “양사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콴다의 글로벌 시장 선점과 기술 고도화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YBM은 매스프레소의 시리즈C 투자에 참여해 YBM넷의 직간접적인 수혜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린 것으로 풀이된다.
2023.02.07 I 심영주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