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2일 이러한 내용의 ‘청년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거주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의 62.9%는 앞으로 ‘청년 일자리 상황이 악화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69.5%는 ‘원하는 직장에 취업할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해 일자리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일자리의 최소 연봉으로는 3000만~4000만원으로 응답한 청년들이 40.2%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00만~5000만원(20.6%), 2000만~3000만원(15.2%) 순이었다.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5~29세 평균 연봉 추정치는 3217만원이었다. 한경연 관계자는 “청년들이 좋은 일자리 조건으로 높은 연봉 외에도 근로 환경 등 다른 조건들도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청년들의 근로 의욕을 고취시킬 다양한 인센티브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가장 필요한 일자리 정책 방향’으로는 기업의 고용·해고를 보다 자유롭게 하는 ‘노동시장 유연화’를 꼽은 청년이 22.4%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기업 인센티브 확대(18.7%) △창업활성화(15.5%) △기업 성장 방해하는 규제 개선(13.6%) △교육시스템 개편(10.9%) △글로벌 기업 유치(9.6%) △서비스업 육성(8.3%) 등 응답이 있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최저임금 인하 내지 동결 △중소기업 개편 △성차별 고용 폐지 △다양한 직군 투자 △귀족 노조해체 등이 나왔다.
“부동산 가격 폭등 뉴스, 근로 의욕 가장 저하시켜”
평생직장 가능성에 대해선 65.2%가 ‘평생직장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답했다. 희망하는 은퇴 시기로는 61~65세가 30.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56~60세가 26.3%로 높았으며, ‘만 66세 이상에 은퇴하고 싶다’는 답변도 19.7%에 달했다. 이 밖에 △51~55세(11%) △46~50세(6.1%) △40~45세(4.3%) △40세 미만(2.4%) 순이었다.
정년연장에 대해서는 청년의 63.9%가 ‘청년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정년연장 시 함께 도입해야 할 제도로는 근로 형태 다양화 등 ‘고용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33.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금피크제 도입(27.0%) △호봉제 폐지 등 직무능력 중심 임금체계 도입(22.0%) △연금 수급 연령 상향(17.2%) 등이 뒤를 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청년들의 부정적인 일자리 인식은 청년 구직단념자 양산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노동시장 유연화와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개혁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줄 수 있도록 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