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울한 현실에 희망을 안겨주어야 할 정치는 절망감만 더하고 있다. 지난 24일 헌정 사상 초유의 현직 검찰총장 직무배제 조치 이후 집권여당과 제1야당은 국정조사 여부를 둘러싸고 이전투구 중이다. 조치의 정당성은 차치하고 거대 양당이 추미애-윤석열 대리전에 `올인`할 정도로 지금 상황이 한가한지 의문이다.
나라 곳간도 문제다. 올 들어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으로 국가 채무는 846조9000억원에 달한다. 기획재정부와 국회예산정책처 등에 따르면 국가 채무는 계속 증가해 오는 2022년 10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정치권에서 불붙은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문제로 벌써부터 추가 국채 발행 얘기가 나온다. 코로나19 피해 업종과 취약계층 등에 대한 지원은 분명 필요하지만, 본예산(555조8000억원) 편성에 허투루 된 부분은 없는지 꼼꼼히 살피는 일이 우선이다. 당장 손쉽다고 국채를 발행해 외부에서 돈을 끌어다 쓰면 재정적자는 심해지고 그만큼 미래세대의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내년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 등 `빅 이벤트`를 앞두고 `묻지 마 재정확대`를 기반으로 민심 얻기에만 골몰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태다.
최근 사석에서 만난 여당의 한 중진 의원은 “고(故) 노무현 대통령이 우리 사회에 던진 질문 가운데 해결된 것이 과연 얼마나 있느냐”고 토로했다. 이제는 고인의 마지막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대통령이 답할 차례다. 3년 반 전 취임사에서 “기회는 균등해야 하고 과정은 공정해야 하며 결과는 정의로워야 한다”고 강조했던 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