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이 나온 가운데 점차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기업 거버넌스 개선 활동을 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사진=대신증권) |
|
3일 이경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2차 세미나에서 시장이 기대하는 구체적인 세제 인센티브가 포함되지 않아 시장이 다소 실망할 수 있지만 밸류업 프로그램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며 “오히려 일반 주주를 고려한 상장기업 정보 공시 강화라는 측면에서 근본적인 거버넌스 개혁이 시작되었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는 프라임(Prime) 시장과 스탠다드(Standard) 시장 상장기업 중 ‘자본효율성과 주가를 고려한 경영’ 이행 방안을 공시한 기업 수는 2023년 말 기준 1115개사였으나 매월 그 수가 증가해 2024년 3월 말에는 1481개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의 경우 계획 미공시에 대한 직접적인 불이익이 없으나 자율적 시장 압력(Peer pressure)을 통한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추구한다는 설명이다. 일본증시 내 투자 주체별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난해 순매수 포지션으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프라임 시장 누적 순매수는 일본의 이러한 패널티없는 정책의 실효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 연구원은 판단했다.
다만, 한국은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와의 차이가 큰 자본시장이라는 특징이 있다고 이 연구원은 전했다. 이에 따라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는 것 또한 대주주와 일반주주 이익의 일치를 추구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증시 내 개인 투자자가 크게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소액주주 권익을 보호하지 않는 상장기업들의 사건이 일반주주의 권익 측면에서 논의되고, 점차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기업 거버넌스 개선 활동이 증가할 수 있는 배경이 될 것”이라며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