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든타임 놓친 후 편마비
|
좌측 중대뇌동맥 영역 뇌경색 환자 대부분은 우성반구인 왼쪽 대뇌반구 큰 뇌경색으로 말을 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모두 어려운 전실어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정씨도 이같은 증상이 예상됐다. 하지만, 발음만 어눌했을 뿐 응급실에서부터 본인의 이름과 나이에 대한 의료진 물음에 대답할 수 있었다. 입원 후에도 우측 편마비는 심해 움직일 수 없었으나 간단한 대화는 모두 가능했다. 정씨가 다른 경향을 보인 이유는 왼손잡이였기 때문이다.
한 국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86.3%는 오른손잡이, 5.8%는 왼손잡이, 7.9%는 양손잡이였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오른손잡이인 셈이다. 이런 오른손잡이의 95% 정도는 반대쪽 대뇌반구인 왼쪽에 우성반구, 즉 언어중추가 위치한다. 소리를 듣거나 시각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이해하고, 말을 하는 주요 기능을 왼쪽 대뇌반구에서 진행하는 것이다. 해당 과정에서 비우성반구인 오른쪽 반구에서 공간 및 이외 감각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왼손잡이는 어떨까. 오른손잡이의 우성반구를 생각하면 왼손잡이의 언어중추는 오른쪽에 대부분 위치할 것 같지만, 왼손잡이 70%의 우성반구는 왼쪽이고, 30% 정도만 오른쪽 반구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른손잡이의 5% 정도, 왼손잡이의 30% 정도는 왼쪽 반구에 뇌졸중이 와도 대화가 가능하다. 아주 드물게 오른손잡이 환자가 오른쪽 대뇌반구에 뇌졸중이 온 이후 실어증이 발생하는 교차실어증이 5% 정도에서는 발생할 수도 있어, 처음 신경학적 검진을 할 때 이러한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고 검진하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
보통 알려진 뇌병변 위치에 따른 증상이 각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오른쪽 대뇌반구에 뇌졸중이 있어 의사소통이 될 것 같지만 안되는 경우가 있고, 좌측 대뇌반구에 뇌졸중이 있어 실어증이 있을 것 같지만 대화가 가능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하게 기억할 것은 가능한 뇌졸중 이후 후유장애를 최소화 하기 위해 골든타임 내 초급성기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웃, 손발, 시선’을 기억하여 뇌졸중이 발생해도 빠르게 치료받아 후유장애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