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서울 주택보급률이 93.6%로 4년 연속 하락했다. 2009년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1인 가구 분화 등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수가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해석된다.
| 지난달 말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사진=연합뉴스) |
|
12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5%로 1년 새 0.4%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서울 주택보급률은 93.6%로 전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재고가 충분한지를 양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이다. 주택보급률이 93.6%라는 것은 전체 가구가 100가구라면 주택은 그보다 적은 93.6채가 있다는 뜻이다.
서울 주택보급률은 2019년 96.0%에서 2020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 2023년 93.6%로 4년 연속 하락했다. 이는 2009년(93.1%)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이기도 하다.
2023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14만17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7만8500가구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6만3000가구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공급이 둔화하며 빠르게 진행되는 가구 분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주택보급률에 다가구·원룸을 쪼갠 쪽방과 반지하, 지하주택 등 주택 품질이 떨어지는 곳과 빈집도 주택 수에 포함되는 점을 고려하면 수요 대비 양질의 주택 공급은 훨씬 제한적일 것으로도 분석된다.
2023년 서울의 주택 준공(입주)은 4만1218가구로 2009년(3만5390가구) 이후 14년 만에 가장 적었으며, 2020년(8만1406가구)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현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 평가와 제언’ 보고서를 통해 “부담 가능한 주택 공급은 주택 가격 등락과 무관하게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이라며 “공급은 수요 정책에 비해 장기간에 걸쳐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정책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9.3%), 인천(99.1%), 대전(96.4%) 4곳이다. 반면 경기 주택보급률은 2023년 0.7%포인트, 인천은 1.2%포인트 상승했다. 대전은 0.8%포인트 하락했다.
지방 주택보급률은 2019년 110.1%에서 2020년 108.9%, 2021년 107.4%, 2022년 107.5%로 줄었으나 2023년 107.7%로 반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