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솟은 나무 사이 '시' 한편의 여유…마포구 '메타세쿼이아 길'[서울 곳곳]

'쓰레기 산' 오명 치유 위해 조성…"아는 사람만 알던 곳"
'난지 테마관광 숲길' 꾸려…상사화·꽃무릇 등 명소로
'시인의 거리', 계절에 어울리는 50여편 시 전시도
  • 등록 2024-10-09 오후 2:02:32

    수정 2024-10-09 오후 7:21:12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노을이 잠들고 어둠이 내려와 별을 찾는 밤 달빛도 한가로이 산책하는 하늘공원

개망초 하얀미소에 강바람이 속삭이고 강아지풀 살랑대는 언덕위 억새숲벤치에 풀벌레들 한밤의 음악회를 연다

굽이치는 한강도 층층계 타고올라와 졸고있는 남산을 불러 깨우고 철새들도 날아와 밤하늘의 별을 헤아린다” (난지도, 임병전 시인)

마포구 메타세쿼이아 길(사진=함지현 기자)
치열한 도심 속 여유로운 ‘힐링’을 느낄 수 있는 마포구 메타세쿼이아 길이 떠오르고 있다. 과거 아는 사람들만 찾는 곳이었지만 지난해 난지 테마 관광 숲길을 조성하면서 서울에서 보기 어려운 꽃을 심고, 50편의 시를 통해 마음에 위안도 주면서 점차 입소문을 타는 모습이다.

지난 2일 마포구 메타세쿼이아 길을 찾았다. 붉은 우산을 펼친 듯 겹쳐진 상사화와 바닷속 하늘거리는 말미잘 같이 생긴 꽃무릇이 무리지어 활짝 피어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독특한 모양새가 눈길을 끄는 상사화와 꽃무릇은 고창과 영광 지역이 유명하지만, 서울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 보였다.

사실 난지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쓰레기 산’ 이라는 오명으로 유명했다. 이에 마포구는 구민의 수십 년 설움과 눈물을 위로하고 난지도의 아름다웠던 옛 이름을 되찾아주기 위해 지난 1999년 난지도 하늘공원의 메타세쿼이아 길을 조성했다. 하늘공원 동쪽 산책로 450m, 남쪽 산책로 900m에 시원하게 뻗은 산책로와 하늘 높이 솟은 메타세쿼이아 나무를 볼 수 있어 아는 사람들만 찾는 ‘힐링 코스’였다.

이후 구는 더욱 많은 사람이 찾을 수 있도록 메타세쿼이아 길에 ‘난지 테마관광 숲길’도 조성했다. 정원식 녹지와 꽃길에 상사화와 꽃무릇 등 37만 본의 꽃을 심어 가을철 명소로 탈바꿈시켰다. 뿐만 아니라 최근 주민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맨발 걷기 길도 새롭게 꾸렸다. 마포구 관계자는 “신발장과 세족대를 설치해 편의를 높였다”며 “덕분에 방문객들은 파란 하늘과 초록 메타세쿼이아 숲길을 따라 붉게 물든 상사화를 배경으로 맨발로 걸으면서 가을의 낭만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메타세쿼이아 길옆에는 작은 길과 의자·벤치를 놓은 ‘소곤소곤길’도 구성해뒀다. 걷는 사람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잠시 앉아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다.

또 한가지 인상 깊었던 것은 곳곳에 쓰여진 ‘시’다. ‘시인의 거리’라고 이름 붙은 코스에는 마포문화원과 마포문인협회가 선정한 50여 편의 시가 어울리는 삽화와 함께 전시돼 있다. 시는 계절 감성에 맞게 교체를 하고 있어 풍경에 더해 문학의 향기도 함께 느낄 수 있다.

마포구 관계자는 “메트세퀘이아길은 다소 방치돼 조성 이후 일부 사람들만 좋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에 안타까움 느껴 서울시와 협의 끝에 꽃을 심고 관리를 하게 됐다”며 “깊어가는 가을 사랑하는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곳으로 탈바꿈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 트랙터 진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