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최근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응급실 내원 환자 수가 평시 수준을 웃돌자 정부가 분산 대책을 추가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한 시민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
|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대비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1418명에서 1502명으로 증가했으나, 그와 동시에 전공의 약 500여명이 이탈하면서 이전과 동일한 형태의 진료를 제공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은 “의료계 집단행동이 장기화되고, 의료진의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응급실 진료는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응급실 방문 환자의 약 44%는 경증·비응급 환자로, 이 환자들을 동네 병·의원으로 적절히 분산할 경우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봤다. 정통령 정책관은 “최근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추진과 마찬가지로 응급의료도 전공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 개편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응급실 과부하를 해소하고,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광역상황실을 4개소에서 6개소로 확대해 전원 및 이송 조정을 지원하고 있다. 광역상황실을 통해 전원을 받는 기관에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해 조정 역할을 강화했다. 이에 더해 지역 의료기관 분포 등을 고려한 지역별 이송지침 마련 등을 통한 이송·전원체계 개선도 추진했다.
앞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응급실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선 환자 분산을 실시한다. 최근 응급실을 방문한 코로나19 환자의 95% 이상은 중등증 이하에 해당해 응급의료기관이 아닌 동네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다고 보고 우선 공공병원 등에 야간·주말 발열클리닉을 운영하고, 코로나19 거점병원으로 지정·운영된 경험이 있는 44개 병원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코로나 환자를 적극적으로 입원치료 하도록 할 계획이다.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경우 복지부와 질병관리청에서 지정하는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270병상)과 긴급치료병상(436병상) 보유 병원 및 중앙·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등 감염병 관련 의료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 정책관은 “현재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