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2022년 11월30일 문을 연 안보협력센터는 사이버 위협 정보를 공유하고, 사고 발생 시 국가 차원의 대응하기 위한 목표로 운영돼왔다. 이달 기준 국가ㆍ공공기관 15개와 정보보호 업체 9개 소속 60여 명이 상주하고 있다. 공공기관·민간기업 12곳에서 비상주 방식으로 참여 중이다.
윤 차장은 센터 명칭 변경에 대해 “민관 협력을 더 확대하는 한편, 사이버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과 정보보호 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는 등 국민과 기업에 한 걸음 더 다가가려 한다”면서 “‘캠퍼스’라고 하면 대학이나 기업 연구소를 떠올리게 된다. 이는 사이버 인재 양성과 기업 상생을 추진하려는 국정원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윤 차장은 “북한의 공격은 계속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공기관 혹은 일부 대기업들은 방어 체계가 잘 수립돼 있다”면서 “해커들은 상대적으로 보안이 미흡한 협력 업체를 1차로 공격, 우회적인 방식으로 실제 공격 타깃에 접근한다. 방산 분야 공격 동향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띤다”고 부연했다.
국정원은 이번 센터 명칭 변경을 기점으로 협업 기업 수를 늘릴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내달 범국가 차원의 사이버 안보 연대 조직인 ‘사이버 파트너스’를 출범한다. 이 조직은 국정원이 운영하는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 플랫폼 ‘KCTI’ 중심 활동을 이어간다. 이달 기준 참여 기관과 기업 수는 630개로, 지난 2015년(8개)에 비해 78배 이상 늘었다.
아울러 내달 발표될 망정책 개선안을 두고 일각에서 나온 공공 보안악화 우려에 대해 윤 차장은 “이번 개선안은 망분리 정책이나 보안을 완화하는 차원이 절대 아니다”라며 “최근 업무 동향을 반영하고 신기술을 받아들이는 측면에서 기존의 망분리 정책을 개선하자는 취지”라고 했다.
이어 “오히려 철저히 망분리를 유지해야 하는 기관들은 유지해야 한다는 취지”라면서 “인공지능(AI)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함에 있어 보안도 함께 고려하자는 방향성에 가깝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