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의 경쟁력을 뒷받침하려면 노동시장 크기를 키우고 두텁게 해야 하는데, 저출산으로 유입되는 인력은 줄고, 은퇴하는 인력은 늘고 있습니다. 노동시장 크기를 유지하는 게 가능할지조차 걱정할 상황이어서 정년 연장은 필요합니다.” (정지원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2일 서울 중구 장충동 서울신라호텔에서 ‘인구절벽 넘어, 지속 가능한 미래로’를 주제로 열린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세션5 ‘길 잃은 일자리 문제, 인구로 답한다’에 참여한 인구·고용 전문가들이 한국의 인구 구조상 정년 연장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들은 또 노사가 합의해 정년 연장 방식을 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날 모인 인구·고용 전문가들은 2030년대 중반이면 한국 노동시장에 노동력 부족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진단하면서 정년 연장을 논의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저출생, 고령화, 노인 빈곤, 생산 가능 인구 감소 현상 등을 고려하면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겐조 교수는 “2000년대 초반 일본은 젊은이들의 고용 상황이 좋지 않았으나 정년 연장을 시행한 뒤부터 고용 시장이 점차 개선되기 시작했다”며 “이에 따라 일본 청년 사이에서 ‘고령자들이 일하는 게 더 좋다’라는 생각이 퍼져 나간 것처럼 정년 연장이 경제적으로 청년과 고령자 모두에 좋다는 인식을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 의원 역시 “최근 20~30대 1000명을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 청년들이 생각한 적정 정년은 65.8세로 지금 정년보다 5.8세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청년들조차 신규 채용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면서도 정년 연장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청년들을 포함한 정년 연장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정 고문은 “정년이 늘었을 때 연장된 분들이 어떤 일에, 어떤 업무를, 얼마만큼 일할지 회사가 이에 대한 매뉴얼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한다”며 “이에 대한 세밀한 대안을 노사 간 준비한 후 결정해야지, 먼저 정년 연장을 한 후 이러한 논의를 시작하는 건 회사 구성원들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정년 연장을 논의하는 방식에 관해선 노사 간 합의가 가장 중요하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 정 고문은 “정년 연장은 근로자의 권익을 향상하는 부분이기에 논의를 많이 하면 할수록 좋다”며 “이를 통해 진지한 고민이 중앙단위 노사정 간 논의에도 깊게 적용되고 많은 이들의 의견이 수렴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겐조 교수 역시 “노사 간 대화가 굉장히 중요한데, 어떤 방향성을 두고 개선할 것인지 같이 이야기하는 게 필요하다”며 “정부도 다양한 정년 연장 방식을 분석하고 노사에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모두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자’는 개념 속에서 논의하면 어려운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