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행정안전부의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작년 서울시 전체 주민등록 기준 출생등록은 4만 2588명으로 2023년 4만 654명과 비교해 4.76% 늘었다.
자치구 중 출생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남구다. 강남구의 지난해 출생등록은 2023년 2350명보다 339명 늘어난 2689명으로 집계됐다. 증가율은 14.43%다. 강남구는 첫째 아이 출산 시 200만원의 출산양육지원금을 제공하고 최대 100만원의 산후건강관리비용을 지급한다. 올해는 총 964억원을 출산 지원사업에 투입한다. 이를 통해 첫째 아이를 낳으면 첫달에 총 79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난임 지원 확대 등 27개의 모자보건사업을 추진한다.
성동구도 11.24%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2023년 1521명 등록보다 171명이 많은 1692명이 지난해 태어났다. 구는 가사돌봄과 산후조리비용 50~150만원을 지원하는데 소득 기준이 없다는 게 특징이다. 저소득 한부모 근로자에게는 연 최대 25만원의 자녀돌봄 휴가비도 지급한다.
중구는 신생아 부모에게 첫째 100만원~넷째 500만원의 출산양육 지원금을 주고 있다. 무료 임신부 가사서비스와 50만원의 산후조리비용도 지원한다. 종로구는 올해부터 출산가정에 육아선물세트를 제공하며,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을 위해 진찰료와 기타 검사비를 지급한다.
이어 마포구가 2023년 1628명에서 지난해 1778명으로 9.21%(150명) 증가했다. 마포구는 ‘햇빛센터’를 통해 임신·출산·육아 맞춤형 원스톱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비혼모에 대한 건강관리와 양육지원에 나서고 있다. 영유아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베이비 시터하우스도 운영 중이다.
서대문구는 지난해 1442명이 태어나면서 2023년 1332명보다 110명(8.26%) 늘었다. 구는 공공산후조리원 ‘품애(愛)가득’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이용료는 250만원이었으나 올해부터는 90%까지 감면해 구에서 1년 이상 거주한 구민은 25만원에 2주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연 최대 350만원의 ‘아빠육아휴직 장려금’ △단태아 30만원, 쌍둥이 60만원, 세쌍둥이 이상 90만원의 ‘임신축하금’도 지급한다.
최다 출생등록은 송파구…“저출생 극복, 공통 과제”
증가율과 관계 없이 가장 많은 출생등록이 이뤄진 곳은 송파구다. 송파구는 지난해 총 3316명이 태어나면서 강서구(2814명), 강남구(2689명), 강동구(2434명), 영등포구(2217명), 구로구(2143명), 노원구(2089명) 등을 훌쩍 제쳤다. 송파구의 총 인구는 65만명으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지역이다. 증가율은 6.49%로 나타났는데 서울 전체 평균치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각 자치구들은 앞으로도 다양한 정책을 통해 출산과 양육에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자치구 관계자는 “저출생 극복은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라며 “실효성 있는 대책을 바탕으로 아이를 낳고 싶은 사람이 망설이지 않을 수 있는 양육친화적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