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통해 쇼츠를 만들기 쉬워지면서 딥페이크(허위 생성물) 범죄물 생성이 쉬워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으나 유튜브측은 AI가 만든 동영상에 ‘비가시성(눈에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가 부착되고 동영상 설명란에 AI가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밝히겠다고 설명했다.
|
◇ AI로 쇼츠 만들고…제미나이 ‘콘텐츠 제작 비서’처럼
유튜브는 24일 열린 웹으로 진행된 ‘메이드 온 유튜브 아시아태평양(APAC) 라운드 테이블’에서 “올해 중으로 구글 딥마인드의 동영상 생성 모델 비오(Veo)가 유튜브 쇼츠(쇼츠 배경 AI도구 ‘드림스크린’)에 통합된다”며 “시각적으로 구현이 어려웠던 아이디어에 생명을 불어넣어 동영상 배경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예컨대 AI프롬프터를 활용해 ‘숲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을 만들어줘’라는 식으로 표현하면 쇼츠 배경 화면을 생성해주는 식이다. 크리에이터는 AI가 만든 배경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유튜브는 현재 몇몇의 크리에이터과 관련 테스트를 한 후 내년초 해당 기능을 오픈할 예정이다. AI가 생성하는 쇼츠를 6초보다 더 늘릴 지는 추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구글 제미나이를 AI에이전트로 삼아 유튜브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할 방침이다. 유튜브는 유튜브 스튜디오 내 ‘아이디어’탭을 개편, 생성형 AI가 동영상 아이디어, 제목, 썸네일, 개요 등을 제안, 콘텐츠 제작에 도움을 주도록 개편한다.
AI를 활용해 콘텐츠 다양성을 넓힐 수 있지만 딥페이크 생성 등이 쉬워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유튜브는 AI가 만든 창작물은 ‘신스ID(SynthID)’로 워터마크를 표시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는 비가시성이기 때문에 콘텐츠 내에서는 AI창작물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다니엘 더비 유튜브 프로덕트 매니저는 “콘텐츠 설명란을 통해 AI도구를 활용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AI창작물에 대한 워터마크 표시가 좀 더 잘 보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어떤 콘텐츠간에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따르게 돼 있다”며 “자신의 얼굴이나 음성을 AI가 가실적으로 묘사하는 경우 이를 삭제할 수 있도록 ‘AI 프라이버시 침해 신고 절차’를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 예컨대 성적인 딥페이크 영상은 콘텐츠 가이드라인에 따라 걸러지는데 정치인을 활용한 딥페이크 영상의 경우 직접 신고 등의 절차를 거쳐 삭제할 수 있다는 얘기다.
콘텐츠 언어 ‘더빙’해서 즐기고…팬들은 ‘기프트’ 쏘고
유튜브 크리에이터와 팬간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커뮤니티도 강화한다. 특히 신인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기 위해 ‘하이프(Hype)’라는 툴을 만들었다. 시청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신인 크리에이터를 응원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영상을 ‘하이프’하고 하이프 포인트가 높을수록 특별한 리더보드에 올라가 인지도를 늘릴 수 있게 된다. 현재 브라질, 터키, 대만에서 테스트하고 있으며 올해말 확장 예정이다.
유튜브는 크리에이터의 수익을 강화하기 위한 툴도 만들었다. 크리에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을 할 경우 별풍선과 유사한 ‘주얼(Jewels)’과 ‘기프트’를 도입한다. 미국의 세로형 라이브 스트림에 첫 적용할 예정이다. 또 국내엔 이미 도입된 유튜브 쇼핑을 이날 쇼피(Shopee)와 파트너십을 통해 인도네시아로도 확대한다. 유튜브 콘텐츠를 TV화면에서 크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만들 예정이다. TV화면에서 유튜브 수익의 대부분을 창출하는 크리에이터의 수가 전년대비 30% 이상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불리치 CPO는 “유튜브의 성공은 크리에이터가 성공할 때 가능하다”며 “300만 크리에이터가 (유튜브 수익화 프로그램인) 파트너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고 지난 3년간 700억달러가 파트너에게 지급됐다”며 “특히 인도에서 시작한 쇼츠는 일평균 전 세계적으로 700억회의 조회수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