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칼라일 등이 한온시스템 인수 가능성을 검토했지만 이후에도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칼라일은 지난 2021년 한온시스템이 처음 매물로 인수합병(M&A) 시장에 등장했을 때부터 원매자로 언급됐던 후보군이다. 당초 칼라일 외에도 프랑스 발레오사와, 독일 말레 등 글로벌 원매자들이 예비입찰에 참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온시스템은 자동차 전반의 열관리(공조) 부문에서 글로벌 2위 업체다. 한온시스템의 최대주주는 지난 2015년부터 한앤코오토홀딩스(50.5%)로, 한앤코오토홀딩스의 최대주주는 PEF 운용사 한앤컴퍼니다. 2대주주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한국타이어)는 전체 지분의 19.49%를 보유하고 있다.
실적 악화도 기업가치 하락의 원인 중 하나다. 한온시스템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지난 △2021년(7조3514억원) △2022년(8조6277억원) △2023년(9조5593억원)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2021년(3258억원)에서 2022년(2566억원)으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2773억원으로 소폭 상승했으나 시장의 기대치를 밑돌았다.
크레딧시장에서 보는 전망도 부정적이다. 지난해 말 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신용평가사 3곳은 한온시스템의 신용등급 전망을 ‘AA-(안정적)’에서 ‘AA-(부정적)’으로 변경했다. 등급전망을 하향한 이유로는 투자 지출이나 배당금 지급 등 차입부담의 지속적인 확대와 재무구조 개선 여력의 제한성을 꼽았다.
한편 최근 전기차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고 산업 전반의 상황이 악화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업체가 전기차 열관리 사업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우려 요소다.
신윤철 키움증권 연구원은 “하향조정된 시가총액에 기반해 한온시스템에 대한 대주주 매각 시도가 재점화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지금보다 훨씬 높은 몸값이 형성돼 있던 시기에도 ‘제 값 받기’를 희망해 온 대주주의 성향을 고려하면 장기전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