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은 관세와 환율이다.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해지면서 수출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다. 대규모 감세도 예고한 만큼 강달러 현상 심화로 원부재료 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정책별 명암을 이용한 영리한 대응을 제언했다.
|
코트라(KOTRA)가 지난 5일 발간한 ‘2024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경제·통상 정책 방향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모든 수입품에 10~20% 보편 관세 부과 △개인과 기업 대상 대규모 감세 △미국 내 제조 산업 강화 등을 주요 공약으로 꼽았다. 코트라는 “미국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무역 구조 재편과 제조업 육성책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한국 농축수산식품의 최대 수출국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10월 농식품 수출액이 81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별로 보면 미국이 13억 1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하며 최대 수출국 자리를 지켰다. 특히 그중에서도 김밥, 떡볶이, 라면 K푸드의 수요가 늘어나는 곳이다.
고환율도 문제다. 국내 식품 기업 대다수는 미국에서 소맥분과 팜유 등 원부재료를 의존하고 있다. 1400원대 고환율이 장기간 유지되면 업체들에게 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관세와 환율은 해외사업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이라며 “1%만이라도 변화가 생기면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중”이라고 했다. 이어 “원부재료 수입 비중부터 제품 수출량까지 기업마다 대응책 마련에 분주할 것”이라고 전했다.
|
부정적인 상황만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식품은 다른 제조업 대비 여파가 덜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미국 내 물가와도 연관이 깊은 분야인 만큼 쉽게 관세를 건드리지 못할 수도 있다는 예상과 함께 수혜가 점쳐지는 부분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위기와 기회가 7대 3의 비율로 공존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불확실성이 크지만 잘 대처하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앞으로 위기가 70%, 기회가 30% 정도로 나타날 것”이라며 “기존 민주당 정부보다 불리한 상황인 것은 맞지만 정책변화의 여파는 기업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식품 부문은 다른 제조업보다 관세에 대한 여파가 덜 할 것”이라며 “특히 라면과 같은 제품은 생활 물가와 밀접한 기초소비재”라고 설명했다. 이어 “적어도 식품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고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