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자본주의 대전환: ESG 노믹스’ 주제로 열린 제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ESF)에서 ‘마이너스 아닌 플러스, ESG 경영과 게임 이론’이라는 주제로 두 번째 기조연설을 맡은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매스킨 교수는 2007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대표 석학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개인과 지역사회, 정부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ESG의 역할을 강조했다.
|
그는 이처럼 주주들의 움직임과 더불어 지역사회, 그리고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변화에 종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매스킨 교수는 “주주들은 기업에 투자를 중지하는 ‘이탈’(Exit) 혹은 기업에 직접적인 요구를 하는 ‘항의(Voice)’ 전략을 선택할 수 있고, 주주 외에 지역사회 등도 기업들의 행동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주체”라며 “특히 정부는 탄소세, 글로벌 협약 등 가장 궁극적으로 기업들을 바꿀 수 있는 방안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ESG는 특히 세계 각국 정부들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매스킨 교수는 “탄소세 등 실질적인 정책은 세금과 관련이 있고, 글로벌 협약 역시 몇 개의 국가에만 그치면 그 효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정부는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만약 개인들이 ESG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명해 정부에게 전달한다면, 곧 ‘시민이 원하는 정책’으로서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ESG는 기업의 행동뿐만이 아니라 정부의 행동까지 이끌어낼 수 있는 요소로서 유효한 셈이다. 매스킨 교수는 “개인이 ESG에 대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이것이 곧 ‘글로벌 협력’을 원한다는 증거가 된다”며 “큰 변화를 원한다면 여러 작은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ESG가 그러한 작은 발걸음으로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