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이데일리의 취재를 종합하면 트위터 등 SNS에는 청소년들이 익명으로 ‘우울계’(우울 계정), ‘정병계’(정신병 계정) 등의 해시태그를 사용해 교류하고 있다. 이들은 자해 사진을 올리거나 자해 방법과 경험을 공유하고, 심지어는 함께 극단적 선택을 하자고 제안을 하기도 한다. ‘동반 자살’을 의미하는 은어 ‘ㄷㅂㅈㅅ’을 검색하면 함께 극단적 선택을 하자고 제안하는 글이 나오는데, 글을 올린 이들 간 접촉은 비공개 다이렉트 메시지(DM)로 이뤄지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지도 않는다.
1분 미만의 짧은 영상이 올라오는 플랫폼인 ‘틱톡’에서도 ‘자해러’(자해하는 사람) 등의 해시태그를 검색하면 새빨간 물질이 나오는 영상이 나온다. 덧글에서 청소년들은 “자해를 하면 어떤 느낌이냐”, “스트레스가 풀리는 느낌이다” 등 공개된 장소에서 서로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특히 SNS 사용에 익숙하고, 사진과 영상 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청소년에게는 온라인 유해 정보가 위협될 수 있다. 고선규 한국심리학회 자살예방위원장은 “청소년들은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받는 정서적 영향이 성인보다 크고, 자해 등의 전염 효과도 크다”며 “특정 공간에서 짧은 시간 내 연이은 자살이 발생하는 ‘수어사이드 클러스터’ 현상 등도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자살 관련 신고 30%↑…유해 콘텐츠 규제해야
실제로 ‘우울증 갤러리’ 사건 이후에는 유사한 신고가 늘어나는 추세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10대 여학생의 극단적 선택이 SNS를 통해 중계된 이후 8일 간(4월 17~24일) 접수된 하루 평균 자살과 자살 의심, 자해 관련 신고는 같은 달(4월 1~16일)에 비해 30.1% 늘었다. 경찰은 미성년자 자살 건수가 단기간에 급증했다고 판단, 총력을 기울여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유해 콘텐츠에 대한 규제는 물론, 현실 세계에서 청소년들을 보호할 방법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어떤 플랫폼이든 영상이나 사진은 자유롭게 퍼지기 때문에 유해 콘텐츠에 대해 확실한 규제가 필요하고, 플랫폼이 나서 이용자에 대한 신고·제재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 역시 “온라인 키워드 규제뿐만이 아니라, 국가나 지자체 등이 나서 오프라인 공간에서 청소년의 심리를 보듬고 원인을 분석 후 예방하는 체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