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속 돌아오는 ‘물 축제’… “축제도 사회 생각해야”

싸이 흠뻑쇼, 워터밤 2022 등 가뭄 속 ‘물 축제’ 잇따라
가뭄 속 다량 물 사용, 코로나19 감염도 ‘우려’
SNS에선 “물 낭비 말아야” 비판 높아
“SNS 타고 윤리적 소비·가치소비 의견 확산”
  • 등록 2022-06-22 오후 4:04:14

    수정 2022-06-22 오후 4:28:24

[이데일리 권효중 김윤정 기자] “‘흠뻑쇼’ 공연 한 번에 식수 300톤 쓴다는데… 가뭄을 생각하면 별로 재미있을 것만 같진 않다.”

[이데일리 스타in 노진환 기자] 가수 싸이가 4일 오후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에서 열린 ‘2017 싸이 흠뻑쇼 섬머 스웨그’ 에서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가수 싸이의 ‘흠뻑쇼’에 이어 3년여만에 ‘서울 워터밤 페스티벌’ 등 물을 사용하는 공연들이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최근 심각한 국내 가뭄 상황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공연을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각에서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움직임이 윤리적인 ‘가치 소비’와도 맞닿아 있다고 짚었다.

가수 싸이는 다음달 9일부터 전국에서 ‘흠뻑쇼 2022’ 콘서트를 개최한다. 또한 오는 24일부터는 서울 송파구에서 ‘워터밤 2022’가 코로나19 이후 3년여만에 열린다. 이외에도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송크란 뮤직 페스티벌’, ‘대전 워터 페스티벌(DMF)’, 신촌 물총 축제 등이 전국 곳곳에서 더운 여름을 맞아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코로나19의 긴 터널을 빠져나온 후 맞게 된 다양한 공연, 축제에 기대가 높지만, 우려의 목소리 역시 높다. 최근 국내에서 가뭄과 이른 폭염 등이 이어지며 소양강 등 주요 지역에서 가뭄 피해가 커지면서다. 특히 가수 싸이가 지난달 한 방송에서 “공연 1회당 식수 300톤 정도가 사용된다”고 언급한 부분이 회자되며 논란을 키웠다.

코로나19 상황도 우려 요소다. 방역당국은 “마스크가 젖는 경우 세균 번식과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며 물을 뿌리는 축제를 자제할 것을 요청했다. 다만 이에 대해 공연을 주최하는 이들은 마스크 착용 필수, 여분의 새 마스크 제공 등 조치를 취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부모님을 위해 ‘흠뻑쇼’를 예매하려고 했던 직장인 이모(30)씨는 가뭄 뉴스를 보고 예매를 포기했다. 이씨는 “부모님이 예전부터 한 번 가보고 싶다고 해서 같이 가보려고 했는데 가뭄 상황에서 물을 낭비한다는 느낌이 들어 찜찜했다”고 말했다. 대학원생 정모(25)씨는 “코로나19 이전 신촌 물총 축제 때마다 불편함을 느꼈는데, 이런 상황에서 물까지 낭비한다면 누가 곱게 보겠냐”고 반문했다.

실제로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지방에서는 재작년 겨울부터 시간제 급수제를 실시하고 있다”, “서울 사람들은 모르는 이야기”라며 가뭄 속 ‘물 축제’를 비판하는 의견들도 올라오고 있다. 배우 이엘 역시 자신의 SNS에 “워터밤 물 300톤을 소양강에 뿌리면 좋겠다”고 적어 눈길을 끌었다.

전문가들은 가뭄 등 자연 환경 그리고 농민들의 피해 등을 우려하는 현상이 ‘윤리적 가치’와 연관돼 있다고 평가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젊은층들은 SNS에서 소비 관련 의견을 표명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에 익숙하다”며 “개인의 공연 소비가 가뭄으로 힘든 농민 등 다른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이러한 모습이 SNS를 타면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송재룡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기후 위기 등 생태학적 측면을 고려하면 ‘흠뻑쇼’에 대한 비판엔 어느 정도 호소력이 실릴 수밖에 없다”며 “SNS에서는 정서의 표출, 확산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힘을 얻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완벽 몸매' 화사의 유혹
  • 바이든, 아기를 '왕~'
  • 벤틀리의 귀환
  • 방부제 미모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