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시총 1위 등극…S&P500·나스닥 최고치 또 경신[월스트리트in]

지갑 열기 주저하는 美소비자…5월소매판매 0.1%↑
연내 두차례 금리인하 가능성↑…9월 68% 인하 베팅
연준 위원들 “최근 물가 둔화 환영...추가 지표에 달렸다”
10년물 국채금리 4.2% 근접…국제유가는 이틀째 상승
  • 등록 2024-06-19 오전 5:50:02

    수정 2024-06-19 오전 5:50:02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미 소비 둔화세가 보이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지며 엔비디아 등 반도체기업들의 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데 투자자들은 베팅에 나섰다.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을 단숨에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로 등극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5% 오른 3만8834.86을 기록했다. 이틀 연속 상승세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지수는 0.25% 오른 5487.03을,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0.03% 오른 1만7862.23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올 들어 31번째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 역시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AFP)
지갑 열기 주저하는 美소비자…5월소매판매 0.1% 증가 그쳐

소비 약화 조짐이 보이면서 연준이 최소 두차례 금리 인하에 나설 기대가 커진 게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5월 소매 판매는 7031억달러로, 전월 대비 0.1% 늘었다. 월가에서는 전월대비 0.3% 증가를 예상했는데 이보다 밑돈 것이다.

아울러 4월 소매판매 증가율(0.0%)도 0.2% 감소로 수정됐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2.3% 늘었다.

자동차를 제외하면 소매판매는 0.1% 감소했다. 예상치(0.2%증가)를 훨씬 밑돈 수치다. 주유소 매출은 유가 하락으로 2.0% 감소했다. 술집과 레스토랑도 0.4% 감소했다. 다만 스포츠용품, 음악 및 서점에서는 2.8% 증가하며 이를 상쇄했다.

소매 판매는 미국 전체 소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소비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에 달해 경기의 척도로 여겨진다. 소매판매가 줄어들면 미국의 경제 성장 속도가 둔화할 가능성이 커진다. 곧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연준의 자신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장 마감 시점 기준 연준이 9월 금리 인하할 가능성은 67.8%를 가리키고 있다. 12월 현재보다 0.5%포인트 금리가 더 내려갈 확률은 68.8% 정도다. 전날보다 소폭 상향된 수치다.

연준 위원들 “최근 물가 둔화 환영...추가 지표에 달렸다”

연준 위원들은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 시그널에 환영하면서도 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2% 목표로 낮아지고 경제가 매우 강력한 지지력을 보이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금리가 향후 2~3년간 점진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확한 정책 경로에 대해 예측하지는 않겠다”면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어떻게 지표가 움직이는지에 달렸다”고 덧붙였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보다 신중한 스탠스를 유지했다. 그는 한 행사에서 “인플레이션이 2% 목표치로 가는 경로에 굳건히 있는지 판단하기는 너무 이르다”며 “통화정책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방식은 신중함을 요구하며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지표에 대해 체계적이고 전체적으로 평가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는 경로에 있다면서도 서비스 물가 압력이 더 낮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4월과 5월 소비자 물가가 오르지 않았다는 사실이 고무적이었다”며 “우리는 앞으로 몇 달간 더 많은 지표를 보게 될 것이고 정책 관점에서 반응하기 위해 좋은 입장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주가 추이(그래픽=블룸버그)
엔비디아,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며 엔비디아의 주가는 상승세를 다시 탔다. 엔비디아 주가는 전장보다 3.51% 오른 135.5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3조3350억달러로 불어나, 마이크로소프트(MS)(3조3170억달러)와 애플(3조2850억달러)을 단숨에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올라섰다. 이날 MS 주가는 0.45% 내렸고, 애플 주가는 1.1% 하락세를 보였다.

이달초 엔비디아는 2002년 이후 처음으로 애플의 시총을 앞질렀고, 최근 며칠간 두 기업들은 2, 3위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했다. 애플은 지난주초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AI서비스를 내놓으면서 한 때 MS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주가가 워낙 가파르게 오르다 보니 MS와 애플 모두 엔비디아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줬다. 엔비디아는 시총이 2조달러에 도달한 지 채 4개월도 되지 않은 채 3조달러를 달성하기도 했다.

엔비디아는 지난 17일 10대 1의 주식 액면 분할이 적용된 이후 주가가 크게 움직이지 않다가 이날 본격적인 랠리를 보였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 181.5% 오른 상태다. 1년전과 비교하면 209.5% 상승했다.

월가는 엔비디아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로젠블라트 증권의 애널리스트 한스 모세만은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종전 140달러에서 200달러로 올렸다. 이는 월스트리트에서 지금까지 나온 최고치다. 모세만은 “향후 10년간 전체 매출 구성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측면이 현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지속 가능성으로 인해 밸류에이션이 상향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회사 서스케한나의 애널리스트 크리스 롤랜드도 엔비디아 목표주가를 종전 145달러에서 160달러로 올렸다. 롤랜드는 “이 회사가 번창하는 시장에서 이익을 취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주가수익비율 멀티플(배수) 51.5배를 적용할 수 있다”고 했다.

퀄컴과 TSMC도 각각 2.19%, 1.38% 올랐고, 세계 메모리반도체 3위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도 3.8% 올랐다. 팹리스(반도체설계회사)의 팹리스로 불리는 ARM도 8.63% 상승했다.

10년물 국채금리 4.2% 근접…국제유가는 이틀째 상승

국채금리도 뚝 떨어졌다. 오후 4시기준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6.2bp(1bp=0.01%포인트) 내린 4.217%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도 5.3bp 떨어진 4.708%에서 거래되고 있다.

다만 국제유가는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게 부담이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7월 인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거래일보다 1.24달러(1.54%) 오른 배럴당 81.5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글로벌 벤치마크인 8월 인도분 브렌트유 가격은 1.08달러(1.3%) 오른 배럴당 85.33달러에 마감했다. 최근 예멘의 친이란 후티 반군이 홍해에서 상선을 공격하는 등 지정학적 위기가 조금씩 고개를 드는 분위기다.

달러는 소폭 약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05% 내린 105.26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럽증시도 일제히 올랐다. 프랑스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지난해 급락했지만 빠르게 반등하는 분위기다. 영국 FTSE100지수는 0.6%, 독일 DAX지수는 0.35%, 프랑스 CAC40지수도 0.76% 상승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600지수도 0.69% 올랐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57세' 김희애, 우아美
  • '쾅' 배터리 공장 불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