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3일 전격적으로 진행된 비상계엄 선포와 계엄사령부의 포고령 발표, 계엄군의 국회 난입 등에 대해 계엄사령관이었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호 국방부 차관 조차도 계엄 관련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극소수만을 통한 계엄 사태였다는 얘기다.
| 비상계엄 선포 당시 계엄사령관에 임명됐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의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함께 출석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
|
박 총장은 5일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비상계엄 선포 관련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며 “장관의 (3일 저녁 10시20분께) 전군주요지휘관회의 때 계엄사령관 임무를 부여받았다”고 밝혔다. 또 계엄군의 국회 난입과 무장 관련 사항 등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군대 이동은 김용현 당시 장관의 지시로 이뤄져 언론을 통해 인지했고, 이에 따라 실탄 지급 등 무장 상황도 알지 못했다고 했다.
특히 박 총장은 포고령 작성에 대해 계엄사령관이었던 자신이 작성한게 아니라면서 “해당 포고령을 전달받고 문제가 있는지 법률 검토가 필요해 장관에게 건의했지만 그대로 발표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계엄사령관 임무를 받고 계엄사령부 지휘통제실을 꾸리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계엄 관련 전문성이 없어서 합참 계엄과장 등을 불러 토의하고 있는데 계엄군이 투입되고 포고령이 발령됐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의 사의로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병력 투입을 지시할 위치에 있지 않고 장관께서 하셨다”면서 “추후 특전사령관에게 확인한 결과 계엄군의 실탄 지급은 없는 걸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포고령 역시 국방부에서 작성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군 병력이 동원된데 근본적으로 반대하고 계엄이라는게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계엄 관련을 언론보도를 보고 국방부로 복귀해 상황파악 했다”고 했다. 이어 “국방부 차관으로 있으면서 계엄 관련 행동을 미연에 확인하지 못했고,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 추후에 책임질 일이 있으면 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용현 전 장관은 사표 수리 이후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에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