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특징주]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에 녹십자·SK케미칼 강세
  •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따라 관련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감도 상승하면서 국내 대표 백신주(株)인 녹십자(006280)와 SK케미칼(285130)이 상승세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16일 오전 10시 현재 녹십자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7.27% 오른 11만8000원을 기록 중이다. SK케미칼도 전일 대비 4.38% 오른 5만4800원에 거래되고 있다.구완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는 당초 메르스, 사스 사태처럼 1~2개월 내 소강상태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제는 2009년 신종플루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며 “신종플루 이후 전염병 예방에 대한 소비자 인식 확산으로 2010년 글로벌 백신기업 실적이 30% 성장한 것을 감안하면 국내 대표 백신업체 SK케미칼과 녹십자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2009년 신종플루가 유행했을 당시 녹십자는 백신을 개발한 경험이 있으며, 이번 코로나19 국책과제 공모를 통해 바이러스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또 SK케미칼은 바이오에너지 사업의 매각으로 외형이 축소됐지만, 자체개발 백신제품의 성장과 도입품목 효과로 인해 생명과학 사업부문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20.03.16 I 박태진 기자
  • [특징주]수젠텍, 코로나19 진단키트 유럽인증 획득에 급등
  •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수젠텍(253840)이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3종에 대해 유럽 인증을 획득해 수출을 본격화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16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10시 10분 현재 수젠텍은 전 거래일 대비 28.37%(3050원) 오른 1만3800원에 거래중이다. 이날 수젠텍은 혈액으로 10분 내 코로나19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신속진단키트 3종의 유럽 통합규격(CE)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유럽CE 등록으로 유럽 뿐 아니라 유럽CE인증을 인정하고 있는 해외 대부분의 국가들에 수출이 가능해졌다”며 “이미 유럽과 중동,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신속진단키트에 대한 공급 요청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손미진 수젠텍 대표는 “연구소와 품질관리부서가 전력을 다해 기술적 난이도가 있는 복수 항체 동시 진단키트 개발에 이어 유럽 CE 인증까지 성공했다”며 “예상치 못하게 주문 및 생산량이 급증해 생산 뿐 아니라 사업부서까지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어 “국내 업체들은 식약청 수출 허가를 받아야 실질적인 수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산 진행과 동시에 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1차 양산 완료 전에 수출 허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0.03.16 I 권효중 기자
  • [특징주]일양약품,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기대감에 이틀째 '강세'
  •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일양약품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기대감에 강세를 보이고 있다.16일 오전 9시25분 현재 일양약품(007570)은 전거래일 대비 6700원(23.14%) 오른 3만5650에 거래되고 있다.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일양약품은 자체 개발한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신약 후보물질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에 효과를 보였다고 13일 밝혔다. 일양약품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생물안전센터내 BSL-3 시설 연구팀에 슈펙트와 메르스 신약 후보물질의 코로나19 치료 효능 검증을 의뢰했고, 시험관 내 시험(인비트로) 결과 효능을 확인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슈펙트 투여 48시간 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조군 대비 70% 감소했다. 현재 코로나19 중증환자에게 사용되는 에이즈 바이러스(HIV) 치료제인 ‘칼레트라’와 독감 치료제인 ‘아비간’에 비해 효능이 우월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미 시판받은 약물이라도 코로나19 치료제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고,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해야 한다. 이후 임상시험 등을 거쳐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해야 한다. 시판받은 약물인 만큼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보는 임상 1상의 경우 면제될 가능성도 있으나 이역시 식약처와 논의를 해야 한다.
2020.03.16 I 오희나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