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7,648건
- 삼성SDI·제일모직 합병법인 내달 1일 닻 올린다
-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삼성SDI(006400)와 제일모직(001300)의 합병법인인 삼성SDI가 내달 1일 공식 출범한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삼성그룹의 사업조정의 일환으로 이뤄진 합병을 통해 자산 15조 원, 매출 10조 원의 그룹 주력 계열사로 발돋움하게 된다.통합 삼성SDI를 제외하고 연매출 10조원(2013년 기준, 금융계열사 제외)이 넘는 계열사는 삼성전자(005930),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물산(000830), 삼성중공업(010140) 등 4사에 지나지 않는다.또 양사가 보유한 그룹 계열사 지분을 통해 신규 사업 투자를 위한 재원 마련도 쉬워 향후 성장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박상진 사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양사 합병으로 기존의 배터리, 시스템 사업에서 케미컬, 전자재료까지 사업이 다각화 된다”며 “2020년에는 매출 29조 원의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완제품-부품-소재’ 수직 계열화로 지배구조 강화양사 합병으로 ‘삼성전자(완제품)→삼성SDI(부품)→제일모직(소재)’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이는 친환경·에너지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SDI에 소재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또 제일모직도 지난해 9월 패션사업부문을 삼성에버랜드로 이관하면서 소재와 반도체 사업에 집중키로 했지만 이 사업만으로는 성장의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특히 삼성SDI의 주력 사업인 전기자동차(EV)·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사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소재 경쟁력 강화가 필수조건이었다는 점도 합병 결정의 배경이었다.삼성SDI는 현재 BMW의 EV인 i3의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다. 또 앞으로 포드와도 전기차용 배터리 개발을 협력키로 하는 등 LG화학(051910)이 세계 1위를 기록 중인 EV 배터리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다.아울러 주요 납품처인 BMW가 닛산, 테슬라와 함께 EV 배터리 충전기술 표준화를 위한 협의에 들어가면서 성장 가능성을 더욱 밝게 하고 있다.윤혁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사의 EV 판매량은 현재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80%를 차지한다”고 전했다.◇합병 따른 시너지는?우선 합병으로 원재료 통합구매와 생산시설 공동 활용, 이자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양사가 각자 보유하던 거래선을 활용해 영업망 확대효과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김병기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으로도 원재료 통합구매, 생산시설 공동활용, 해외거점 통합, 물류 통합, 이자비용 절감 등을 통해 연간 400억~500억원 규모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운영비용 절감효과 외에도 삼성SDI가 철수를 검토하고 있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 3개 생산시설의 클린룸 설비를 제일모직이 편광필름 사업에서 활용하는 등 생산시설 재활용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양사는 우선 연말까지 박상진, 조남성 각자 대표체제의 ‘한지붕 두가족’ 형태로 경영된다. 지난 3월 양사 합병 발표 이후 꾸려진 태스크포스(T/F)에서 시너지 창출 방안과 조직 운영계획 등을 수립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내달 1일 통합 법인이 출범하고 나면 T/F는 해체될 예정”이라며 “연말까지 각 사 독립경영체제로 운영된 뒤 시너지가 가장 큰 방향으로 조직이 다시 정비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그룹 지배구조 핵심 역할…계열사 지분 매각으로 투자재원 마련통합되는 삼성SDI는 그룹 지배구조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삼성그룹은 현재 ‘삼성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SDI→삼성물산→삼성에버랜드’의 순환출자 구조로 이뤄졌다.특히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으로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지주회사체제 전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삼성SDI가 보유한 그룹 계열사 보유지분의 매각은 필수적이라는 게 증권가와 업계 전망이다.삼성SDI는 삼성물산 7.2%, 삼성에버랜드 4.0%, 삼성디스플레이 15.2% 등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 합병 후에는 삼성에버랜드에 대한 지분율이 8.0%로 늘어나고, 삼성엔지니어링 지분 13.1%도 추가된다.김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된다면 삼성SDI가 보유한 삼성물산과 삼성에버랜드의 지분가치가 현재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지주회사체제 전환시 순환출자 고리를 끊어야 하기 때문에 삼성SDI가 보유한 계열사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고 전했다.최지수 교보증권 연구원도 “삼성에버랜드가 상장되면 삼성SDI가 보유한 지분(8.0%)으로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며 “삼성SDI 합병법인이 대규모 재원으로 신사업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삼성SDI, 장기 성장성에 주목할 때-유진☞조선내화 코스피200 편입 따른 매수 제한적-대우
- [미리보는 이데일리신문] 유통家 벼랑 끝 위기
- [이데일리 김보리 기자] 다음은 18일자 이데일리신문 주요 기사다.△1면 -유통家 벼랑 끝 위기-한-우즈벡크 정상 “40억 달러 가스전 개발 협력”-문창극 “사퇴할 생각없다”-호날두의 교훈..‘팀코리아’ 뭉쳐야 이긴다△종합-박효종 3기 방통심의위원장, 좌우 중심잡는 ‘공정잣대’ 숙제-금융허브 가로잡는 황당한 ‘손톱 밑 가시’-경제권 놓고 ‘형제의 난’..해외사업도 ‘적자허덕’△브라질, 즐겨라 대한민국-뮐러 골골골..2연속 득점왕 시도-미국, 가나 꺾고 16강 가나?-이동국 “후반 체력싸움...상대 짜증나게 만들어야”△정치-“문창극, 국민 뜻 헤어려라”..‘친박 좌장’ 서청원도 등돌렸다-우즈베크 “한국 유라시아 구상 지지”-하반기 院구성 ‘국감에 발목’△경제-日닮아갈라..경제수지 불황형 흑자커져-“대기업 시장진입 제한 점진적 폐지를”-국민 10명중 8명 “주택가격 여전히 비싸”△금융-LIG-KB증권 합병 시너지 ‘글쎄’-최수현 “LTV·DTI개선 모색”-상품부터 세금까지..신한은행 ‘원스톱’ 상담△산업-“한국근로자 임금, 유럽보다 많이 받는다”-삼성, 中LTE 시장 2위 도약-‘고가정책’ 혼쭐 난 피아트, 신모델 가격 낮추나-SK, 해외ICT인재 영입 팔걷었다-“빅데이터 활용해 유망 창업아이템 발굴”-글랜우드, 동양매직 인수 우선협상권 위기?-롯데계열사 공동구매 확대-“술 제조비법 샌다” 업계 반발△ICT-3배 빠른 LTE·기가 와이파이..기존 달말기는 ‘앙대여~’△엔터테인먼트-‘족집게 영표’ 이번에도 믿습니다-월드컵 중계 3색매력△컬쳐-경제학거장 케인스, 알고보니 ‘수학낙제생’△성공, 異야기-강성희 오택그룹 회장, 목표는 1조클럽..“마이웨이 간다”△마켓-SK텔레콤, 가입자 등에 업고 ‘나홀로 질주’“아모레퍼시픽 더 오를 것”-테슬라, 충전방식 통일 논의..전기차株 ‘쌩쌩’△증권-새벽 월드컵..김 빠진 치맥株-증권가 ‘파생상품활성화’실망-유가불안·기상이변 예고.해외원자재 ETF 발길△글로벌마켓-설마하던 러시아가..유럽 에너지대란 공포-알스톰 인수전 놓고 美·獨·日 기업 ‘합종연횡’-GM 또 리콜△피플-강호 보험연구원장 “고령화시대 보험의 갈 길, 한·일 함께 모색”-김중수 전 한은 총재, 美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로-삼성, 다문화 여성이 운영하는 빵집 오픈
- [마감]코스피, 사흘 만에 2000선 회복
-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코스피가 사흘 만에 2000선을 회복했다. 17일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7.96포인트(0.40%)오른 2001.5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1994.89로 출발한 지수는 장 초반 외국인의 매도세 속에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정오께 외국인이 순매수로 전환하며 지수는 2000선을 회복했다. 개인의 매수세 역시 상승세에 힘을 보태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17일(현지시간) 미국의 5월 산업생산과 6월 뉴욕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한데다 이라크 우려에도 불구하고 서부텍사스유(WTI) 가격이 전거래일보다 0.01% 하락한 점이 긍정적이었다. 외국인은 이날 142억원을 사들이며 2거래일 연속 매수세를 보였다. 개인 역시 98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기관은 246억원 순매도했다. 투신이 495억원 매수에 나섰지만 금융투자(268억원), 연기금(206억원), 국가 및 지자체(134억원)의 매도세가 더 거셌다. 프로그램 매매에서는 차익거래에서 4억원 매물이 나왔지만 비차익거래에서 162억원이 순유입되며 158억원 순매수로 장을 마쳤다. 업종에서는 기계업종이 모처럼 2%대 강세를 보였다. 미국 제조업 경기가 호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유럽과 중국의 경기도 회복세를 보인 점이 주효했다. 기계업종의 두산인프라코어(042670)가 6.61% 오르기도 했다. 이외에도 통신업, 운송장비, 운수창고가 1%대 상승했다. 반면 의약품, 건설업, 의료정밀, 종이 목재는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는 혼조세였다. 등락을 반복하던 대장주 삼성전자(005930)가 전거래일과 같은 137만40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000660)는 전날보다 2.07%(1000원)오른 4만9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도체 업황 호조 속에 실적 기대감이 부풀며 5만원 선에 바짝 다가서는 모습이다. 현대차(005380)(2.00%), 현대모비스(012330)(2.46%), 기아차(000270)(2.14%)도 상승세였다. 달러-원 환율이 1020원선을 회복하며 순이익에 대한 우려를 낮췄다는 평가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달러-원 환율이 현재 수준에서 가파른 급등락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최근 미국의 단기 금리가 상승했는데 FOMC에서 별다른 조치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금리 인상 기대감이 후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NAVER(035420)와 POSCO(005490)는 각각 1.76%, 1.38%씩 하락했다. 상승장 속에서 더 활짝 웃은 종목도 있었다.이월드(084680)가 6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이랜드그룹의 중국 완다그룹 투자유치 소식에 투자자의 기대가 부풀어 오르고 있는 탓이다. 한편 이월드는 이날 거래소의 현저한 주가 변동과 관련한 조회 공시 요구에 “분기보고서와 대한주택보증 구상금 소송 외에 현저한 시황변동에 영향을 미칠만한 사항으로 진행중이거나 확정된 사항이 없다”고 답변했다. 간밤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모터스의 주가가 8.81% 상승하자 2차전지의 원재료 일렉포일을 생산하는 일진머티리얼즈(020150)가 상한가로 직행했다 .반면 하락한 종목 역시 많았다. 한진중공업(097230)은 유상증자로 조달하는 자금이 줄었다는 소식에 전날보다 8.66%(710원) 내린 749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한진중공업은 유상증자로 조달하는 운영자금이 기존 2448억원에서 1960억원으로 줄었다고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액도 7420원에서 5940원으로 낮아졌다. 또 한국공항(005430) 역시 전날보다 8.27%(2100원) 하락한 2만3300원을 기록했다. 한국공항은 앞서 회사 직원이 760억원 규모의 계열사 주식을 무단인출 하는 등 회사 자금을 횡령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검토받은 바 있다. 거래소는 한국공항에 대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검토한 결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정했고, 이에 따라 이날부터 주권 매매거래정지가 해제됐다.유가 상승에 그동안 강세를 보였던 SK이노베이션(096770)과 S-OIL(010950) 등 정유주도 WTI의 가격 하락에 각각 1.40%, 1.05%씩 미끄러졌다. 증권가에서는 WTI 가격이 배럴당 110달러를 돌파하지 않을 경우,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월드(084680)를 비롯한 11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448개 종목이 올랐다. 하한가는 없었고 360개 종목이 내렸다. 87개 종목은 보합에 머물렀다. 한편 거래량은 2억3274만주, 거래대금은 3조4488억원을 기록했다. ▶ 관련기사 ◀☞[특징주]두산인프라코어 강세..'공작기계 수요 늘어난다'☞기계업종 턴어라운드..두산인프라·LS산전·와이지원 유망-대우☞박용만 두산그룹회장, 차남결혼식 조용히 치러
- 삼성SDI, 전기차시장 개화 빨라질 것..'매수'-유진
-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유진투자증권은 17일 삼성SDI(006400)에 대해 전기차 충전기술의 표준이 만들어지면서 중대형 전지사업부의 성장 전망도 밝아지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9만원을 유지했다. 윤혁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테슬라, 닛산, BMW가 전기차 충전기술 관련 표준을 만들기 위해 협의하고 있다”며 “충전방식이 통일되면 충전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이 급감하면서 전기차 시장 개화가 앞당겨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테슬라, 닛산, BMW가 내놓은 모델S, 리프, i3의 판매량은 전기차 시장 80%를 차지한다. 테슬라는 경쟁사에 특허를 공유해 전기차 시장 확대가 우선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생각의 속도가 상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테슬라가 이끄는 전기차 시장 개화는 빨리 올 것”이라며 “충전방식이 통일된 이후 배터리 규격이 동일화하면서 자동차용 배터리 대량 생산에 따른 원가 절감, 가격 하락, 전기차 가격 하락의 선순환구조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 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중대형 전지사업부의 매출액이 지난해 1372억원에서 올해 5000억원으로 증가하고 특히 BMW, 포드 등 자동차용 배터리 수주와 매출액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변화 수혜가 예상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그는 “삼성SDI가 보유한 7조원에 달하는 관계사 지분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에버랜드, 삼성물산 등의 가치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세계 1위의 경쟁력을 갖춘 소형 1차전지의 성장성 역시 투자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휴먼웍스, 스마트폰 배터리 5배 용량 보조 배터리 출시☞[주간추천주]우리투자증권☞삼성SDI, 삼성전자 자사주 218만주 매입